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새침한알파카43
새침한알파카43

건강검진 수치 조심해야 할 것들이 있을까요?

Iron(Fe) 135

TIBC 383

WBC 4.42

RBC 5.71

Hemoglobin(Hb) 16.9

Hematocrit(Hct) 50.2

Platelet 287

MCH 29.6

MCHC 33.7

MCV 87.9

Neutrophil Seg 54.1

Lymphocyte 26.5

Monocyte 9.7

Eosinophil 7.7

Basophil 2.0

PDW 12.4

RDW 13.1

Albumin 4.5

Globulin 3.0

A/G Ratio 1.5

Total Protein 7.5

Total Bilirubin 1.2

Direct Bilirubin 0.4

ALP(Alk phosphatase) 166

CK(CPK) 161

GOT(AST) 33

GPT(ALT) 46

LDH 461

r-GTP(GGT) 45

HBs-Ag (ICA) Negative

HBs-Ab (ICA) Positive

HCV-Ab (EIA) Negative(0.08)

HAV IgG Negative(0.49)

Amylase 46

Lipase 29

Total Cholesterol 232

HDL-Cholesterol 87

LDL-Cholesterol 105

Triglyceride 159

Glucose(FBS) 97

T3(CLIA) 1.79

TSH(CLIA) 1.76

Free T4 (CLIA) 1.23

전문가가 아니라 검색해보는것도 한계가 있는거 같네요
조심해야 할 수치 라던가 이정도면 전반적으로 괜찮은건지 궁금하네요 30대후반 남자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반적으로큰문제는 없으나 간수치 GPT가 조금상승해 있습니다.당장에 큰문제는 없으나 3개월정도 후에 피검사 다시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중성지방수치도 아주 조금증가되어 있어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검사실마다 정상 참고치에는 차이가 있으나 현재 검사 결과에서는 경미한 간기능수치의 상승과 혈색소 상승,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상승이 있습니다. 음주를 자주하시는 편이라면 절주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며 현재 약을 드셔야 하는 상황은 아니지만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이 높으므로 아래와 같은 생활습관교정을 권장드립니다.

      1) 탄수화물 및 고지방 음식을 줄이는 식사

       정제된 탄수화물 (빵, 떡, 국수와 같은 밀가루 음식)이나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 (비계, 곱창 등)은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혈당 수치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과일 음료나 탄산음료 섭취는 삼가시고 믹스 커피를 즐겨드신다면 이를 줄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식물성기름 (콩기름, 들기름, 올리브기름)이 동물성 기름보다 유익하며 음식은 가급적 튀기지 않고 찌거나 삶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잡곡, 해조류, 채소, 과일껍질 같은 식이섬유를 많이 드시고 잡곡이나 현미, 통밀과 같은 통곡식품이 백품보다 도움이 됩니다.

       채소와 콩류, 생선류, 과일류, 유제품의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가 좋습니다.

       2) 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숨이 약간 찰 정도 이상의 강도로 주 150분 (1일 30분시 주 5일, 1일 50분시 주 3일) 이상 빠르게 걷기, 조깅, 수영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시고, 몸이 익숙해지면 주 1~2회 추가로 근력운동을 권장드립니다.

       3) 금연과 절주

       흡연자시라면 금연이 장기적으로는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음주 (함께 드시는 안주)는 혈당과 중성지방을 상승시킬 수 있어 주 2회 이하, 1회 5잔(남성) 3잔(여성) 이하로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4) 체중감량 등이 콜레스테롤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더불어 가족력이 중요한 위험인자 이므로 위에서 말씀드린 생활습관 교정 이외에도 3~6개월 마다 정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

      또한 혈색소 (헤모글로빈)가 높게 나타납니다. 혈색소는 혈중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수집하는 기능을 합니다.

      혈색소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을 경우를 빈혈이라고 부르고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시 호흡곤란, 숨참, 피로감, 어지럼증 등이 있습니다. 정도가 경한 경우는 철분이 많은 음식 섭취만으로 호전이 되지만, 빈혈 정도가 심한 경우 체내 출혈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철분제 복용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혈색소가 높은 경우는 적혈구 과다증이라고 하며 남성의 경우 혈색소 17g/dL, 여성은 15g/dL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흡연이며 이외에도 저산소증, 신장 질환, 드물게 종양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최근 보고에 따르면 혈액의 점도가 증가 (끈적끈적)함에 따라 동맥이나 정맥 혈전증의 빈도가 증가하며, 혈전에 따른 합병증의 위험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을 하고 계시다면 금연이 필요하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잘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A형간염 항체가 없으므로 예방접종 (총 2회, 0, 6개월) 이 권장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올려주신 자료에서 눈에 띄는 것은 간 기능이 좋지 않습니다 약을 대실길 정도는 아닌데 3개월로 추적관찰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고지혈증이 심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LG 의지가 400엔 없는 경우에 아주 심각한 고지혈증인데 아마 측정상의 문제가 있거나 아니면 쓰신분이 잘못 적었어요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시 한번 수치를를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꾸준하고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루 30분~1시간 정도 하시기 바랍니다.

      음식관리는 기름진 음식을 가급적이면 피하시기 바랍니다. 병원 방문하셔서 고지혈증약 처방 받아서 복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너무 보기 불편하네요. 범위를 써주시던가, low/high 나온 부분도 기입해주시던가 해야지..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혹시 검진 설명을 들어보지 않으셨을까요? 검사 기관마다 정상범위가 달라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alt와 r-gtp가 정상보다 약간 높네요. 비만이시라면 운동과 체중감량을, 음주를 하신다면 절주를 권합니다. 추가로 a형 간염 항체가 없어서 예방접종을 하시길 바랍니다. 나머지는 특별한 이상은 없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