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식시장과 미국의 주식시장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주식을 투자하고 있는 투자자 중 한 명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미국의 주식시장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정말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1.한국: 개인비중이 높고 변동성이 크며 배당이 낮습니다. 또한 단타, 테마주가 많습니다.
2.미국: 기관, 연기금 중심이며, 장기투자성향이 많고 배당과 ETF가 발달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은 가격의 변동폭부터 우리나라는 30%의 변동 제한이 있지만 미국의 경우
제한이 없습니다
또한 미국은 전세계 자금이 몰리는 곳이라면 우리나라는 제한된 자금이 몰리는 곳으로
움직이는 사이즈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부동선처럼 미국 국민의 주요한 자금원이 주식인 반면 우리나라는
부동산이기 때문에 제약 사항이 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은 코스피와 코스닥으로 나뉘어 거래되고, 상대적으로 개인 투자자 비중이 높아 단기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반면 미국 시장은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이 대표적이며 기관과 연기금, 글로벌 자금 비중이 크다 보니 거래 규모와 유동성이 훨씬 방대합니다. 또 한국은 공매도 제한이나 거래시간 같은 규제가 많고, 미국은 파생상품과 etf 등 투자 수단이 다양해 전략 선택 폭이 더 넓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미국의 주식시장의 차이는 장 운영시간의 차이, 그리고 상하한가 제한의 차이가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상하한가 제한의 차이가 있어서, 이는 상한가 30, 하한가 -30 퍼센트까지 제한이 있습니다. 미국주식시장의 경우 이러한 상하한가 제한 없이 무한대로 상승 또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동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크다는 말은 수익이 클수있다는 말이지만,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 주식시장의 가장 큰 차이는 우선 거래 시간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미국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밤부터 새벽까지 정규장이 열리며 프리마켓과 에프터마켓이 있어서 거래 가능한 시간이 더 많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일일 주식 상승 , 하락이 30% 까지만 가능한 반면 미국은 제한이 없습니다. 미국이 전세계에서 가장 큰 장이다 보니 거래대금도 훨씬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는 전 세계 혁신 기술 기업과 다양한 산업군을 아우르는 글로벌 경제의 집합체지만, 국내 증시는 내수 및 특정 대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반영하는 경향이 큽니다.
또한 미국은 빈번한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 환원 문화가 매우 발달한 반면, 국내 기업들은 성장을 위한 재투자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미국은 세계최대의 주식시장이며 전체 시가총액이 40조달러이며 한국과 비교하면 무려 20배이상으로 넘는 시장이며 글로벌전체에서도 절반가량을 차지하며 주주자본주의 매우 발달한 국가입니다.
특히 미국은 한국과 달리 분기배당이 일반적이며 자사주소각까지 주주환원율도 한국보다 몇배나 높은 수준이며 특정종목에 따라서 100%에 가까운 주주환원율 종목도 매우 많습니다. 한국은 현재 주주환원율이 25%수준밖에 안됩니다. 상장기업의 특성도 미국은 주로 빅테크기업들이 탑10을 이루고 있고 이들이 시가총액을 대다수 차지하는 형태의 기업구조입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중심의 기업으로서 10년이 넘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이런 종목만 시총상위에서 변하지 않고 있고 미국은 10년과 지금 시총 탑10종목이 크게 변할정도로 산업의 트렌드와 방향이 역동적인 모습을 보일정도로 변화무쌍합니다.
미국은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이라는 시장이 있어서 투자자에게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고 미국은 전세계 자본이 집중되는 시장이며 그만큼 유동성이나 멀티플배수도 한국보다 몇배나 높은 배수를 적용받고 실제 PBR이 S&P500지수 기준 과거 평균 4배수준이며 한국은 현재 1배수준입니다.
미국은 정책변화가 크지 않으며 시장이 자유롭게 가는 효율적인 시장이며 정부보다는 SEC라는 증권거래위원휘과 관리와 규제를 합니다. 한국 정책변화가 매우 심한국가라는게 단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과 미국 주식시장의 주요 차이는 경영 문화, 시장 구조, 세금 제도에 있습니다. 미국은 주주 친화적인 경영 문화가 뿌리내려 CEO가 주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배당과 주가 상승을 통해 주주 환원을 적극적으로 합니다.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주식이 투기 대상으로 여겨지고, 배당보다 단기차익을 선호하는 경향이 큽니다. 또한, 한국 주식은 거래세는 있지만 양도소득세가 없고, 미국은 반대로 거래세는 없지만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미국 증시는 시가총액 규모가 크고, 글로벌 IT와 성장주 중심인 반면, 한국 증시는 제조업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벨류에이션이 낮아 투자 매력이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주식의 가장 큰 차이는 하루 상하락 저한 폭이 미국에는 없다는 겁니다.
철저한 자본주의 개념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주식 시장과 미국의 주식 시장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하나 눈에 띄는 차이가 있으니 바로
한국에는 상한가, 하한가 등으로 하루에 오르고 내리는 등락의 폭이 정해졌는데
미국 증시에는 그런 것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 얘기하면 다들 미국 먼저 떠올리는데 우리나라랑 비교해보면 분위기가 꽤 달라요. 미국은 기업 수가 엄청 많고 업종도 다양해서 선택지가 넓죠. 반대로 우리나라는 삼성전자 같은 몇몇 대형주가 시장 비중을 크게 차지해서 흐름이 좀 편중돼 보입니다. 또 미국은 장이 길고 거래 시간도 유연해서 애프터마켓까지 활발한데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짧고 제한적입니다. 투자자 성향도 차이가 있는데 미국은 연금이나 기관 중심 자금이 두껍게 버티는 반면 우리나라는 개인 투자자 비중이 커서 단기 변동성이 더 심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