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바닷물고기에 비해서 민물고기를 먹을 때에 기생충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민물고기를 먹을 때에는 기생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바닷물고기와 비교해서 기생충 감염이 우려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민물고기 중에서 기생충 감염 우려가 없는 것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민물고기에 기생충 감염 우려가 큰 이유는 민물 환경이 기생충의 생활사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민물에서는 기생충이 숙주인 물고기, 조개, 달팽이 등을 거치며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형성되어 기생충 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바닷물고기는 해수의 높은 염도와 환경적 특성 때문에 일부 기생충 외에는 인간에게 감염될 위험이 적습니다. 민물고기 중에서도 양식장에서 청결하게 관리된 경우 기생충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자연산 민물고기는 기생충 감염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익혀 먹는 것이 안전합니다.

  • 가장 큰 이유는 바다와 민물의 환경 차이 때문입니다.

    바닷물의 높은 염도는 많은 병원성 미생물과 기생충이 생존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환경입니다. 반면, 민물은 염도가 낮아 다양한 기생충이 서식하기에 더 유리한 환경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바닷물고기가 기생충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바닷물고기에도 기생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민물고기 중에도 기생충 감염 우려가 없는 것이 있다면 양식의 경우입니다.

    깨끗한 환경에서 사료를 먹고 자란 양식산 송어, 향어, 틸라피아 등은 기생충 감염 위험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에서도 이런 양식 어류에서는 간디스토마, 즉 간흡충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