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자율주행의 핵심 칩과 2차전지에 대해서 국내 기업을 대놓고 밀어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테슬라가 Ai6칩과 그리고 LFP라는 2차전지의 대규모 계약을 TSMC와 CATL이 아니라 오히려 한국기업에게 대놓고 수주를 하고 계약을 맺고 오히려 파트너라고 언급하며 밀어주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데 왜 이런 태도를 보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는 상대적으로 특정 한 기업에게 의존하는것에 대해서 리스크로 인식하는것으로 보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TSMC에게 다른 빅테크보다 우선 순위에게 밀리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의식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보니 국내 기업을 일부러 키우도록 유도하려는 입장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서 이번 트위터에서 파트너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오스틴공장이나 또한 LG공장을 방문하여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즉 이들을 키워서 특정 벤더가 아니라 멀티벤더로서 안정적인 조달과 비용을 낮추어서 서로 같이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보인것으로 파악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는 고성능 반도체 공정에서 삼성전자, 배터리 부문에선 LG에너지 솔루션과 파트서십을 유지하며 기술력, 납기 안정성, 품질 등에서 한국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중국 업체에 대한 지정학적 리스크 회피, 글로벌 다변화 전략도 맞물려 한국 기업들이 핵심 공금처로 선택되고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가 삼성전자와 LG에너지솔루션을 선택한 이유는 미국의 대중 고율 관세와 미중 무역 갈등 때문에 TSMC•CATL 같은 중국•대만 기업과의 협력이 리스크로 부상했고, 북미 공급망 안정화와 비용 절감이 요구됐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는 고성능 AI 반도체의 첨단 공정 기술력과 미국 현지 생산 능력, LG엔솔은 미국내 배터리 공장과 ESS 시장 확대 대응력, 안정적 납품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북미•글로벌 전략상 현지 생산이 가능하고, 기술 경쟁력고 갖춘 한국 기업을 선택해 공급망 리스크와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가 국내기업을 밀어준다기 보다는 테슬라도 더 좋은 칩으로 더 좋은 서비스를 하기 위한
선택에 하나 입니다
테슬라가 선택을 잘한 것이 동시에 엔비디아까지 견제할 수 있는 한 수를 두었다고 보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만 바라보고 있을 때 테슬라가 삼성전자를 선택하면서 향후
엔비디아의 독점적인 바잉 파워를 분산했기 때문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모두 웃는 상황이고
테슬라는 엔비디아의 독점 AI 반도체 공급을 막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공정 역량, 기술 협력 의지, 가격 경쟁력 등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핵심 공급사로 선택한 것입니다.
2차전지의 경우도 중국 의존을 탈피하고 미국에 공장이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을 선택함으로써 미국 관세 회피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선택한 것입니다.
한국이라고 밀어주는게 아닌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감안해 선택된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한국 시장이 크기도 하며
더불어서 단가 등에서 우리나라 기업에 이점이 있으며
기술력 등도 이점이 있기에 테슬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과의
계약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테슬라가 자율주행의 핵심 칩과 2차전지에 대해서 국내 기업을 밀어주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나마 한국 기업들이 중국과 선 긋기를 하고 있기 때문엑
중국에 정보가 넘어가는 등의 위험이 현저하게 낮은
한국 기업과 거래를 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가 갑자기 우리나라 기업들을 이렇게 적극적으로 밀어주는 모습, 좀 의외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찬찬히 보면 계산이 꽤 뚜렷합니다. 일단 반도체나 2차전지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단가 경쟁력은 물론이고 수율 안정성, 대규모 양산 능력까지 확실히 입증해왔다는 점이 큽니다. 게다가 미국-중국 간 기술 패권 싸움이 치열해지면서, 테슬라도 중국 CATL 같은 기업에 계속 의존하기에는 리스크가 커졌을 겁니다. 그 틈새를 우리나라 업체들이 실력으로 파고든 거고요. 또 하나는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 분산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미국과도 가까운 무역 파트너고, 기술보호에 있어서도 신뢰도가 높다고 평가받습니다. 결국 테슬라 입장에서는 실리도 챙기고 전략적 안전판도 확보하려는 선택이라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