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게임 중독의 정략적 기준이라는 것이 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

게임에 대한 인식이 시간이 지날수록 나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게임에 대한 인식이 그리 좋지는 않습니다. 특히 학생들의 게임 중독에 의해서 이러한 면이 부각되는데, 게임 중독의 정략적 기준이라는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게임 중독은 게임 과사용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초래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게임 장애(Gaming Disorder)를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게임에 대한 통제력 상실, 게임을 가장 우선시하며 일상생활에서의 흥미와 활동이 현저히 감소, 그리고 부정적 결과가 초래됨에도 게임 사용이 지속되거나 증가하는 등 이러한 증상이 12개월 이상 지속될 때 게임 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마다 증상의 정도와 심각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게임사용으로 인해 학업, 대인관계, 신체적/정신적 건강 등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게임 중독은 게임 이용 장애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어 있는데, WHO에서는 1. 지속성, 2. 통제 상실, 3. 일상 생활의 침범 의 세 영역으로 진단기준을 나눕니다. 지속성은 게임이 삶의 다른 활동보다 우선시되어 일상에서의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게임을 지속하는 상황이 적어도 12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합니다. 통제 상실은 말 그대로 게임 시간이나 빈도 등을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하고 일상 생활이 망가진다는 것은 사회적 관계, 학업이나 직장 생활, 책임져야 할 일들 등의 요소가 침해받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정확한 기준이 존재한다기 보다는 그 게임 중독 수준으로 인해 본인의 일상생활이 침해를 받는다면 중독이라고 평가합니다. 즉, 학생이 학생으로서의 일을 다 못하고, 직장인이 직장인으로서의 일을 다 해내지 못할 때, 그리고 그게 게임 때문일때 우리는 중독이란 단어를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WHO는 게임중독을 판단할 때 세 가지 주요 기준을 사용합니다. 먼저, 게임에 통제 능력이 상실되고 다른 관심사나 일상적 활동보다 게임을 우선시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해도 게임을 중단하지 못하는 상황이어야 합니다. 또한, 게임중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행동이 개인, 가족, 사회, 교육, 직업 등의 중요한 영역에서 상당한 손상을 일으켜야 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태가 최소 12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특정한 시간으로 결정된다기 보다는

    금단 증상 (게임을 하지 못하면 괴로운 정도) 및 내성 (게임 시간/몰입도가 정점 증가하는 것)이 핵심이고

    게임으로 인해 본인의 일상 생활에 지장이 생기는 정도에 따라 중독이라고 표현할 듯 합니다

  • 모든 중독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원칙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느냐 여부입니다.

    즉, 게임때문에 나의 일상생활에 방해를 받는다면 중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학업에 방해를 받는다면 중독이겠죠.

    아래의 간단한 자가진단을 해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게임중독은 심각한 폐해를 유발합니다

    도파민분비에 중독되어 다른 약한 자극에 대해 흥미믈 잃고 실생활.직업.학업등에 집중하지 못하면 중독이라고 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