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도도한까마귀171
도도한까마귀17121.03.04

갑작스레 손가락이 파랗게 부었어요

방금 전까지 괜찮았는데 어머니께서 우산 쓰고 나갔다 오신 뒤로 중지 손가락이 파랗게 멍이 들고 부었어요. 이상한건 어머니가 어디 부딪치셔서 부은게 아니고 갑작스레 부어올랐다는거에요.

현재 사진보다 더 파랗게 멍이 들었어요

병원에서는 이상 없어 보이니 냉찜질 하라고 하는데 너무 걱정되네요. 혹시 의심되는 질병이라도 있는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빈번히 파랗게 손가락이 변하신다면 레이노드 증후군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특별한 원인 없이 발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외에 류마티스 질환이나 동맥 폐쇄성 질환, 신경학적 장애나 순환 장애, 진동으로 인한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혈관이 갑자기 수축하며 창백해지고 청색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개의 환자에서는 증상이 매우 경미하고, 자주 발생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치료 없이 불필요한 한랭 노출을 피하는 것만으로도 호전이 됩니다.
    약물적 치료로 칼슘차단제, 알파차단제 등의 혈관확장제를 사용할 수 있고, 약물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손, 발가락의 교감신경 차단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평소 옷을 따뜻하게 입고 장갑과 양말을 착용하여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외부 스트레스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금연해야 한다. 그리고 레이노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을 피하시길 권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냥 멍든 것처럼 보입니다. 혹시 어머님께서 평소 아스피린이나 항혈전제를 드신다면 외상없이도 멍이 들 수는 있답니다. 특별히 통증이 심한 것이 아니라면 찜질을 하면서 지켜보시면 될 듯 합니다. 다른 심각한 질환일 가능성은 낮아보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