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총명한퓨마17
총명한퓨마1723.03.30

상어는 왜 정어리 떼를 흐뜨린 다음에 낙후된 놈을 먹을까요?

다큐멘터리를 보는데, 상어는 정어리 떼의 가운데로 들어가서 정어리떼를 흐뜨린 다음에 낙후된 놈을 먹더군요.

그냔 가운데에는 입 벌리고 지나가기만 해도 될 것 같은데 왜 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상어는 먹이를 찾을 때 먹이의 모임인 떼를 공격합니다. 떼에서 가장 느린 또는 낙후된 개체를 노린 이유는 쉬운 먹이라서입니다. 또한 먹이를 포획하는 데 드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쉬운 먹이를 노리는 것이 상어에게는 합리적입니다. 이렇게 쉬운 먹이를 노리면 먹이를 포획하는 데 드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며, 먹이를 포획한 후에도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상어는 특히 느린 또는 낙후된 개체를 노리는 이유는 먹이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1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는 일반적으로 떼를 흐뜨리기 위해 정어리 중심부를 공격합니다. 이로 인해 낙후된 물고기는 떼에서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물고기들은 상어에게 쉽은 먹잇감이 됩니다.

    또한, 상어는 사냥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주 떼 사냥을 합니다. 떼를 흐뜨리면 물고기들이 혼란스러워지고 방향감각이 혼돈되어 도망치거나, 서로 부딪히기 때문에 더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상어가 낙후된 물고기를 먹는 이유는 떼를 흐뜨리는 사냥 기술에 따른 결과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동물들은 사냥을 할때 무리에서 뒤쳐진 놈들을 사냥합니다

    무리에서 뒤쳐져 힘이 없고 나약한게 사냥하기 편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작은 물고기들은 순간적인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움직임이 느린 개체를 잡아먹기 위한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가 사냥시 정어리 때를 흐트리는건 사냥감들이 서로 뭉쳐 있을경우 사냥감을 특정할수 없어 사냥하기 힘들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가운데로 들어가 흐뜨린후 낙오된 물고기를 잡아 먹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가 정어리 떼의 가운데로 들어가서 정어리 떼를 흐뜨리는 것은 먹이를 쉽게 잡기 위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정어리 떼는 대개 서로 가깝게 떠다니는데, 이러한 떼 속에서는 상어가 쉽게 한 마리를 선택하여 추적하거나 잡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상어는 떼를 흐뜨리고 분리시킴으로써 더 쉽게 먹이를 선택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어가 정어리 떼의 가운데로 들어가면서 입을 벌리는 이유는 수온과 해류가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상어가 입을 벌려 수면에서 바닥까지 물을 먹이면서 흡입하면, 그 시간동안 먹이를 찾을 때 필요한 냉각작용과 호흡작용을 수행하면서 수온과 해류에 맞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입을 벌려 물을 흡입하면서 상어의 감각기관에서는 주변의 냄새와 진동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먹이를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어가 정어리 떼의 가운데로 들어가서 입을 벌리는 것은 상어의 먹이를 쉽게 선택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략이자, 수온과 해류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면서 먹이를 발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행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앞에 먹이가 너무많아도 어디에 집중해야될지 헷갈리니, 흩어놓고 소수먹이에 집중을 해야 성공률이 올라가니 그렇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야생에서도 동물을 몰고, 무리로부터 이탈된 사냥감을 노리는것과 같은맥락으로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는 정어리 떼를 흩어놓은 후에도 그 떼에서 낙오된 정어리를 사냥합니다.


    정어리 떼를 흩어놓는 것은 상어가 먹이를 쉽게 사냥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정어리 떼를 흩어놓으면 물고기들은 서로를 찾아 헤매며 방향감각을 잃게 되어 상어에 대한 방어적 반응이 둔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상어는 흩어진 떼에서 쉽게 먹이를 발견하고 사냥할 수 있습니다.


    낙오된 정어리는 떼에서 벗어난 뒤에는 상어의 눈에 더 띄기 쉽습니다. 상어는 떼에서 벗어난 정어리를 추적하고, 쉽게 잡을 수 있는 먹이로 삼습니다. 그래서 정어리 떼를 흩어놓은 후에도 상어는 낙오된 정어리를 사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는 물고기를 먹이로 삼는 동물 중에서도 뛰어난 사냥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정어리 떼를 흐뜨리는 행동은 "발광생물떼"를 이용하여 먹이를 찾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발광생물떼는 물속에서 빛을 발하는 작은 생물들의 떼입니다. 상어는 이 떼를 이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먹이가 모여있는 지역을 찾아서 공격합니다.

    하지만, 정어리 떼를 흐뜨리는 것은 단순히 먹이를 찾기 위한 전략이 아닙니다. 정어리 떼는 비교적 큰 물고기들이 모여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상어는 이 지역에서 "낙후된 놈" 혹은 "상처 입은 놈" 등의 먹이를 노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먹이들은 떼 속에서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어는 정어리 떼를 흐뜨리는 것으로 이러한 먹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상어는 먹이를 먹는 행동이 매우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먹이를 찾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이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상어는 먹이를 찾는 전략으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정어리 떼를 흐뜨리는 것은 상어가 먹이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정어리 떼를 흐뜨리는 것은 상어가 떼 내부에 있는 약한 개체를 찾아내기 쉽게 만드는 것입니다. 정어리 떼를 이루는 개체들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떼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개체들은 보호를 받지 못하고 쉽게 공격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체를 먹음으로써 상어는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낙후된 놈들은 질병에 걸린 개체나 부상을 입은 개체 등으로 상어에게는 쉬운 먹잇감입니다. 이러한 개체들은 먹이사슬에서 하위 단계에 위치하며, 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투자 대비 높은 보상을 제공합니다.

    셋째, 상어는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얻으려고 합니다. 떼 내부에 위치한 개체들은 다른 개체들과 경쟁적으로 먹이를 먹으며, 따라서 상어가 새로운 먹이를 찾는데 드는 에너지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상어가 입만 벌리고 지나가는 것보다 흐뜨리는 것이 먹이를 잡는데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정어리떼를 흐뜨러트리지 않으면 그들은 일사분란하게 상어를 회피하지만 정어리 떼를 흐뜨리면서, 혼란을 불러 일으키고 낙오된 떼의 개체가 생겨나 그들이 남긴 냄새를 감지하여 그들을 찾아내고, 그들을 먹이로 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