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소극적인
소극적인

선입선출법은 허용이 되는데 왜 후입선출법은 금지되나요?

재고자산의 가액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선입선출법과 가중평균법, 후입선출법이 있는데요. 후입선출법은 기준에서 금지시킨다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후입선출법이 금지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후입선출법 (LIFO) 는 물가상승시 기업의 이익을

    실제부도 줄여 세금을 덜 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는 금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후입선출법(LIFO)이 국제회계기준(IFRS)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서 금지된 이유는, 이 방법이 재고자산의 실제 흐름이나 현행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후입선출법은 최근에 매입한 재고가 먼저 판매된 것으로 가정하는데, 이럴 경우 물가가 오를 때 매출원가가 높게 계산되어 순이익이 줄고, 기말 재고자산은 과거의 낮은 원가로 남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재무제표상 재고자산의 가치가 현실과 괴리가 생기고, 기업 간 비교 가능성과 투명성이 떨어집니다.

    또한, 후입선출법은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악용될 소지가 많아, 회계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이유입니다. 반면, 선입선출법(FIFO)이나 가중평균법은 재고 흐름과 시장가치를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해 국제적으로도 신뢰받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후입선출법은 국제회계기준에서 허용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업 회계기준에서 후입선출법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세무회계 상에서는 후입선출을 인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후입선출은 최근 가격을 먼저 비용처리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시 세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탈세목적이 될 수 있어 금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후입선출법이 금지된 이유는 재무제표의 신뢰성과 비교 가능성 저하 때문 입니다.

    실제로는 예전 물건이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 이며 물가 상승 시에 최신 원가가 먼저 비용처리 되기 때문에

    이익을 줄이고 세금 줄이는 데 악용 가능성이 발생 합니다.

    현실적인 흐름을 반영하고 회계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선입선출을 인용하고 가중평균법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후입선출법은 가장 최근에 매입하거나 생산한 재고가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합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는 높은 원가의 재고가 먼저 매출원가로 인식되어 당기 순이익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기업은 이러한 후입선출법의 특징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순이익을 낮춰 법인세를 절감하려는 유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즉, 회계상의 이익을 실제 경제적 실질과 다르게 조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후입선출법을 적용하면 기말 재고자산은 가장 오래된 재고의 원가로 평가됩니다. 특히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기말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이 현재의 시장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재무상태표의 자산 가치를 왜곡시켜 정보 이용자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후입선출법이 금지된 이유는 다음 3가지 때문입니다. 재고의 과대 평가, 소득세 측면의 문제, 국제 회계 기준 불일치

    후입선출법은 가장 최근에 구입한 재고가 먼저 사용되거나 판매된다고 가정하는데, 재고 가치가 실제 시장 가치보다 과대 평가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용을 과대 평가하고 이익을 축소시킬 수 있어서 소득세 부담을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국가에서는 국제 회계 기준(IFRS)을 따르고 있으며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