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심각한뿔영양39
심각한뿔영양39

수용성 비타민C의 지용성 유도체 물질의 성질

비타민C는 수용성이라 피부로 흡수가 잘 안되는데

그래서 지용성 유도체 (아스코빌 팔미네이트, 아스코빌 테트라 이소파미테이트 등)을 사용하는데 이 지용성 유도체의 성질이 무엇이길래 흡수가 빨리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순수 비타민C가 수용성인데 반해 비타민C 유도체는 지용성으로 피부 침투가 더 쉽습니다. 이는 피부는 얇은 지질막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수용성 성분보다는 지용성 성분의 흡수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아스코빌 팔미테이트는 기존의 비타민C(아스코르브산)가 도달할 수 없는 신체 부위에 항산화 작용을 하는 지용성 비타민C인데요, 안정적인 지용성 비타민 C의 형태로 아스코빅애씨드와 팔미틱애씨드라고 불리는 지방산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에 흡수가 잘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비타민 C의 지용성 유도체, 예를들어 말씀하신 아스코빌 팔미네이트의 경우는 비타민 C와 구조가 비슷해서 몸에서 비타민 C와 거의 비슷한 작용을 합니다.

    다만 분자의 일부분의 구조에 차이가 있어 지용성이라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지용성 물질이 피부에 잘 흡수되는 이유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에 있습니다.

    세포막은 인지질 2중층이라는 친수성과 소수성 성분이 둘 다 있는 물질들이 모여서 만들어집니다.

    친수성인 부분이 바깥쪽, 지용성인 소수성 성분이 안쪽을 향해 2중층으로 된 넓은 막을 구성합니다.

    그런데 구조상 소수성 부분이 더 커서 친수성 물질은 세포막을 뚫고 지나가는 것이 매우 힘듭니다.

    소수성부분은 친수성 물질을 밀어내기에 그 구간을 지나가기 힘들어, 친수성 물질들은 주로 세포막에 위치한 단백질로 이루어진 터널을 통해 이송됩니다.

    비타민C의 지용성 유도체는 비타민C보다 더 쉽게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를 통해 흡수시키기 위해서 지용성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비타민C의 지용성 유도체(아스코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빌 테트라 이소팔미테이트 등)는 원래의 수용성 비타민C에 지방산을 결합시켜 만든 물질입니다.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지용성 유도체는 피부의 지질 장벽을 더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됩니다. 지용성 특성으로 인해 세포막을 통과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는 더 효과적인 흡수로 이어집니다. 또한, 이러한 유도체들은 피부에서 천천히 분해되어 비타민C를 방출하므로 더 오랜 시간 동안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지용성 특성으로 인해 비타민C의 피부 흡수율과 효능이 크게 향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