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의로운카멜레온145
의로운카멜레온145

세계무역에서 관세 동맹과 공동시장의 개념에 역할과 차이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세계무역에서 관세동맹과 공동시장의 역할과 차이점이 어떤 것인지 있는지 한번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동맹과 공동시장은 경제통합의 중요한 형태로, 각각의 주요 역할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관세동맹은 회원국 간의 관세를 철폐하고 대외 공동관세를 도입하여 무역 장벽을 감소시키며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또한, 비회원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집단적인 협상력을 갖춥니다.

    반면 공동시장은 관세동맹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면서도 더 깊은 경제 통합을 추구합니다. 이는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며 회원국 간의 경제 정책 조화를 강조합니다. 이로 인해 공동시장은 관세동맹보다 회원국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더 높은 수준의 경제적 통합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복잡한 제도와 규제 체계를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관세동맹과 공동시장은 모두 국제 무역을 촉진하고 경제 통합을 추구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지만, 공동시장이 더 높은 수준의 경제 통합을 나타내며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과 더 깊은 정책 조화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세계무역에서 관세 동맹과 공동시장은 경제 통합의 두 가지 주요 형태로, 각각의 역할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관세 동맹은 두 나라 이상이 서로의 무역에서 관세와 기타 무역 장벽을 철폐하고, 동일한 대외 관세율을 적용하여 경제적으로 통합되는 형태입니다. 이는 회원국 간의 무역 자유화를 촉진하며, 시장 규모를 확대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목적을 둡니다. 예를 들어, 유럽자유무역연합(EFTA)과 남미공동시장(Mercosur)이 대표적인 관세 동맹입니다.

    공동시장은 관세 동맹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면서, 더 나아가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형태입니다. 이는 회원국 간의 경제적 통합을 깊이 있게 추구하며, 생산 요소의 자유 이동과 경제 정책의 조율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EU)은 공동시장의 전형적인 예로, 회원국 시민들이 다른 회원국에서의 거주, 취업 등의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관세 동맹과 공동시장은 경제적 번영을 목표로 하지만, 공동시장은 보다 높은 수준의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통합을 추구하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이는 회원국들 사이의 협력을 강화하고, 정치적 통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관세동맹의 경우에는 공동시장보다 낮은 단계의 경제통합입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차이는 아래 KDI 경제정보센터의 글을 참고부탁드립니다

    두 번째 단계는 관세동맹(customs union)이다. 참여국 간에 상품의 이동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며, 동맹국 간에는 관세를 폐지하거나 경감한다. 비참여국으로부터 수입할 때에는 각국이 공통의 수입관세를 부과하는데, 이것이 자유무역지역과 다른 점이다. 관세동맹의 예로는 독일 관세동맹(1834), 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 3국이 결성한 베네룩스 관세동맹(1944)이 있다(독일 관세동맹은 1871년 비스마르크에 의해 독일이 통일되기 전 여러공국들이 존재했을 때 프로이센의 주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당시에는 국가 간의 협약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관세동맹 사례에 포함).

     

    세 번째 단계는 공동시장(common market)이다. 관세동맹보다 진전된 형태의 경제통합으로, 경제적인 국경을 철폐하고 국가 간 무역량 확대와 사회적·경제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무역제한뿐만 아니라 생산요소(노동·자본 등) 이동에 대한 제약을 철폐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회원국 간 노동(건설·컨설팅 등), 자본(은행, 기타 금융서비스, 해외직접투자(FDI) 등), 기술 등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진다. 주요 사례는 유럽경제공동체(EEC), 중미공동시장(CACM), 아랍공동시장(ACM), 안데스 공동체(ANCOM) 등이다.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2417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주신 내용은 경제통합의 단계에 따른 것인데 공동시장의 형태가 역내 생산요소의 자유 이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조금 더 경제통합의 정도가 높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cm/cntnts/cntntsView.do?mi=3304&cntntsId=98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