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독서, 논술에 대한 입시 과정은 축소 되고 있는건가요?

논술, 독서, 토론에 대한 능력이 대학 입시를 좌지우지 하는 시기도 있었는데, 논술에 대한 평가도 이제 축소되고 있는 상황인건가요? 현재 대입의 관건은 여전히 정시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논술시험은 제시문의 요점파악과 정당한 논리 전개력을 알아보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다른 모든 시험과 마찬가지로, 변별력을 명목으로 무작정 어려운 단어를 쓰거나

    고등학생에게 대학교 수준의 문제를 내놓는 악화가 발생해

    2022학년도 대입부터 적성고사 폐지와 함께 논술은 축소 및 단계적 폐지 수순을 밟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24년도 고려대를 시작으로 여러 대학이 논술전형을 다시 도입하면서 새로 재조명 되고 있는 추세죠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논술시험은 본고사에서 시행이 많이 되었습니다. 과거 학력고사가 폐지되고 수능시험으로 대체되면서 수능시험의 특성상 (지식 자체를 측정한다기보다 지식을 충분히 이해하는 수학능력을 측정) 내신의 비중을 늘린다거나 본고사를 채택하여비중을 늘리는 대학교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다만 그 시기는 대학에 들어가려는 사람보다도 대학정원 자체가 적어 대학이 어느 정도 주도권을 쥐고 무엇이든 결정할 수 있는 시대였다고 한다면, 지금은 인구감소 및 국민소득의 전반적인 증가로 해외유학도 가능하고 대학정원에 비해 대학입학 인원이 오히려 예전보다 줄어들어 학생들이 오히려 선택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습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술 등의 본고사형 시험의 비중이나 중요도가 변했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 입시정책의 특성상 언제든지 또 다른 형태로 변할 가능성도 항상 존재한다고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최근 몇 년간 대학 입시에서 논술전형은 점차 축소되는 추세입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과 학생부 종합전형의 비중이 커지면서 논술전형은 지원 대학 수와 모집 인원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이런 변화가 있는 것이 맞지만 최상위권 대학의 일부 학과에서는 논술전형이 아직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 하위권 대학에서는 대부분 폐지되거나 축소되었습니다. 독서와 토론 능력 자체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그것을 평가하는 방식이 학생부 기록이나 구술 면접 등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수시전형의 선발규모가 정시보다 커서 정시에 대한 관심이 많이 줄어들고 있지만 수능 성적만으로 대학에 진학하고 싶은 학생들은 정시전형을 계속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2025년 대학 입시에서 논술, 독서, 토론 등 사고력 기반 전형의 비중은 최근 몇 년간의 축소 흐름과 다르게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논술정형을 실시하는 대학은 41-42개교이며, 논술로 선발하는 인원도 1만1,994명으로, 전년도 보다 전형 실시 대학과 모집 인원이 모두 늘어났습니다. 특히, 고려대, 상명대, 신한대, 을지대 등이 논술전형을 신설했고, 일부 대학은 논술고사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구조로 바꾸면서, 교과 성적 반영은 축소되는 경향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논술전형이 전체 대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 수준으로 여전히 낮으며, 대학별/계열별로 적용 방식이나 비중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목표 대학별 맞춤 전략이 필요합니다.

    정시의 경우, 수도권 및 서울 주요 대학에서는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2025학년도 전체 모집 인원 중 정시는 20-21%에 불과하나, 수도권 대학에서는 34-35%에, 서울 주요 대학에서는 평균 43-44%로, 사실상 대학 입학의 핵심은 여전히 정시가 좌우한다고 하겠습니다. (2025학년도 수시 모집 비중은 전체 모집 인원의 79.6-80.3%수준으로 매우 높은 편이나 서울 및 수도권으로 범위를 좁히면 위의 언급 대로 정시의 비중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수시 비중은 전국적으로는 높은 편이지만, 그 범위를 서울이나 수도권으로 줄이면, 정시의 비중이 높아지게 되므로, 입시 전략시 대학 별 입시 구조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