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이랑 현금흐름이랑 다른거라는데 왜 그런거죠?
손익계산서의 순이익이 흔히 말하는 현금흐름이랑을 다른거라고 합니다. 기업이 실적 발표할때, 순이익도 나오고 cash flow라고 현금흐름도 나옵니다. 이게 어떻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기순이익에서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 그리고 감사상각비 등에 따라 실제로 현금이 유출된 것이 아닌 장부상의 손실은 더해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이익과 현금흐름이 다른것은 우리나라의 회계 기준이 발생주의를 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발생주의회계에서는 손익의 계산을 매출이 발생한 시점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는 현금이 유입되는 시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100만원의 매출을 1월 1일날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서 인식을 하였지만 이 100만원의 매출대전을 3개월뒤에 수취하기로 하였다면 현금이 유입되는 시기는 3월뒤인 4월 1일이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순이익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후 남은 이익을 말합니다. 이는 회계적인 개념으로, 기업의 경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순이익은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은 현금으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의 현금흐름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현금흐름은 손익계산서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현금흐름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재무 재표는 발생 위주로 수익을 인식하고 현금 흐름표( CASH FLOW)는 발생 주의 위주로 현금을 인식 하기 때문에 실제 당기 순이익(NET INCOME)과 회사의 가용 현금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출액을 계상할 때는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의 판매가 확정되었을 때 입니다. 그리고 거입간 거래의 경우에는 현금으로 거래하는 경우가 없고, 신용형태로 거래가 되기 때문에, 제품을 판매하였다고해서 실시간으로 현금이 왔다갔다 하지 않습니다. 기업이 비용을 처리했을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계산할 때는 비현금성 비용을 차감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감가상각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금흐름과 영업이익은 차이가 발생을 하게되고, 영업이익과 함께 현금흐름도 견고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지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