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아임유얼마더
아임유얼마더

외부 충격 후 뇌진탕 같은 증상은 CT로만 알 수 있는 건가요?

나이
4
성별
여성

조금 전에 28개월 아이.. 벤치의자 모서리에 부딪혀 머리에 혹이 났다는 글을 올렸었는데요. 보통 이런 일로 응급실에 가면 엑스레이 먼저 찍어보더라고요. 엑스레이 찍어서 이상 없으면 CT는 따로 안 찍어도 되나요? 뇌진탕, 뇌출혈 같은 증상은 CT로만 알 수 있는 거죠? 엑스레이 상으로 이상이 없어도 뇌진탕 진단을 받을 수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CT에서 뇌진탕을 감별할수있지만 28개월이고 특별하게 쳐지는등의 증상이 없다면 경과관찰을 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뇌진탕은 CT 검사 결과를 참고하기도 하지만 여러가지 임상적인 증상 및 소견들을 종합하여서 진단하는 질환입니다. 머리의 외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CT 검사가 필수적인 것은 뇌진탕 때문이기도 하지만 뇌출혈의 가능성 때문인 것이 큽니다. 관련하여서는 CT 검사를 통해서만 알 수 있으며 엑스레이 검사에서는 뇌출혈 여부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엑스레이에서 이상이 없더라도 CT 검사까지 확인해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엑스레이로는 두개골의 골절이 심한 경우에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개골 골절도 정확히 확인하려면 CT를 찍어보는게 맞습니다.

    뇌출혈은 CT로 확인하는게 맞고 뇌진탕은 뇌 실질에 구조적으로 변화가 생기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CT를 찍어도 확인을 할 수 없습니다.

    뇌진탕은 그저 두개골이 흔들리면서 그 안에 뇌가 관성에 의해서 충격을 받았다는 의미이며 이로 인해 두통, 어지러움, 의식소실, 기억상실, 구역질, 구토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임상적으로 진단을 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

    뇌진탕은 검사 없이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아이가 쳐지거나 구토를 하는 등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CT를 찍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x-ray로는 뇌출혈을 진단하기 어렵고, 뇌출혈 확인을 원하신다면 ct 를 찍어봐야 확인이 가능하나, 방사선 노출 등의 위해도 있으므로 의료진과 상의 후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X-ray로 일단 골절 여부를 확인합니다. 골절이 있을 정도라면 충격이 크게 되니 CT를 찍어서 뇌 안의 문제도 같이 확인을 해 봐야 하지요. 엑스레이와 CT는 검사로 알 수 있는 항목이 달라서 필요하면 CT를 찍어야 합니다. 뇌진탕은 검사가 아닌 증상으로 진단하는 질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