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기준 시점은 언제인가요?
사람이 죽고 죽은 사람이 가지고 있던 재산을 상속받을 때 주식의 경우 매일 가격이 변하고 경우에 따라 폭망할 수도 있는데, 상속세 부과하는 시점은 언제 가격 기준으로 부과하나요?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상속재산의 평가는 상속개시일(사망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참고로, 상장주식의 경우 상속개시일 전후 2개월(총4개월)의 종가평균액을 상속재산가액으로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개인이 상속개시(=사망 또는 실종선고 등)로 인하여 피상속신의 재산 , 채무 등이 피상속린의 상속인인 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이 되는 경우 피상인의 상속개시일(= 사망일 또는 실종선고일 등)로부터 6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피상속인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상속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
즉, 상속세 기준시점은 피상속인의 사망일 또는 실종선고일이며, 상속세 신고기한은 피상속인의 사망일 등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하신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상장주식의 경우 상속개시일 기준 전후 종가평균으로 평가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조영민 세무사입니다.
상속세 신고시 상속재산의 평가는 상속개시일(사망일)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상장주식은 상속개시일 전후 2개월간 공표된 한국증권거래소 최종시세가액의 평균액으로 평가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진화 회계사입니다.
상속개시일은 일반적으로 사망한 날을 의미하고 상장주식의 경우 질문처럼 변동하기에 기준일 이전 이후 2개월의 시세 평균으로 산정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피상속인의 사망일이 상속기준일이며, 상속재산으로 주식을 받을 경우 상속일 전후 2개월간의 종가평균액으로 신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