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갈치의 어획량 감소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1980년대만 해도 갈치어 연평균 어획량은 12만톤이 넘었다더군요.

그런데 최근에는 연 평균 5만톤도 안된다던데 왜 이렇게 어획량이 감소했나요?

어획량 감소시 단골 멘트인 수온상승은 한류성 어류에나 적용되는 것이고 갈치는 난류성 어류라 수온이 오르면 오히려 어획량이 늘어야하지 않나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순히 수온 상승만이 문제가 아닙니다. 말씀대로 갈치는 난류성 어종이지만, 수온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먹이 생물의 분포 변화나 서식 환경 변화로 인해 어획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변화가 갈치의 산란 시기나 이동 경로에 영향을 미쳐 어획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어획은 어족 자원 고갈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갈치의 경우에도 오랜 기간 동안 집중적인 어획이 이루어지면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이상 기후 현상, 해양 산성화 등 기후 변화는 해양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면서 갈치의 서식 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과거에는 중국어선의 불법 조업이 갈치 어획량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수온 상승이 갈치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수온만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수온 상승은 먹이 생물의 분포, 해류 변화, 플랑크톤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갈치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갈치가 난류성어류라고해도 약 20도에서 25도가 적정온도라고합니다. 이보다 더높이 수온이올라가면 수온이낮은해역을찾아 움직이고 서식지가변화할수있습니다.

    또한 남획에의해 개체수자체가 씨가말라가는 현상일가능성도 높다고합니다.

  • 갈치 어획량 감소의 원인은 단순히 수온 상승 때문만이 아니라 남획, 서식지 환경 변화, 먹이 생태계의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갈치는 난류성 어류로 수온이 오르면 어느 정도 서식지 확장이 가능하지만, 최근 수온 상승은 지속적이고 급격한 변화로 이어져 갈치의 산란장과 서식지의 안정성을 해치고 있습니다. 또한 남획으로 어미 갈치 개체 수가 줄어들어 번식이 원활하지 않으며, 갈치의 먹이인 소형 어류의 감소도 어획량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수온 상승 자체보다는 생태계 교란과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 환경 변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갈치 어획량 감소는 과도한 어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이 주요 원인인데요

    수온 상승은 갈치의 생태적 특성과 먹이사슬에 영향을 미쳐 어획량 감소를 초래 할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