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를 먹으면 어떤 미생물이 많이 들어있어서 장이 깨끗해지나요?
김치에는 여러가지 채소와 향신료, 미생물들이 많잖아서 발효시킬 때 맛과 향기가 풍부하잖아요.
그래서 먹으면 장이 깨끗해진다는 효능이 있대요.
유산균이나 젖산균 말고도 어떤 종류의 미생물들이 많아서 발효도 잘 되고 장도 깨끗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치의 발효 과정은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촉진되며, 이들 중 일부는 장내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산균(Lactobacillus)과 젖산균(Lactococcus) 이외에도, 김치에는 바실러스(Bacillus), 레우코노스톡(Leuconostoc), 바이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등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각각의 미생물은 김치의 맛과 향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고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장의 건강을 도모합니다.
바실러스 종은 김치의 발효 과정 중에 단백질과 지바을 분해하여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생성하며, 이는 소화 촉진 및 장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레우코노스톡은 젖산 및 다른 유기산을 생산하여 김치의 pH를 낮추고, 이는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자연적인 보존 환경을 만듭니다. 또한, 바이피도박테리움은 장내에서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할 수 있는 올리고당을 분해하여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김치를 먹으면 장이 깨끗해지는 데 도움을 대표적 유산균으로는 류코노스톡 속과 락토바실러스 속이 있습니다.
유산균은 김치의 pH를 낮춰 산성 환경을 만들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직접적으로 유해균을 억제하는 항균 작용을 합니다. 또한 말씀하신대로 장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고,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유지하여 건강한 장 환경을 조성합니다. 특히 장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70% 이상이 존재하는 곳으로, 유산균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며, 유당 불내증을 완화하고,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를 촉진하여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김치에 들어 있는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그리고 김치유산균 덕분에 장이 깨끗해집니다. 감사합니다.
김치에는 유산균과 젖산균 외에도 효모와 일부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발효를 촉진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과 생리활성 물질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치안에 들어있는 발효균은 보통 락토바실러스나 루코노스톡, 페디오코쿠스, 와이셀라와같은 균들이 대다수입니다. 이 균들은 발효시킨산물로 인간에게 유리한 효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칸디다와같은 효모는 김치의 풍미형성을 조절해주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