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내방가사는 왜 한글을 사용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부녀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가사들을 내방가사라고 하던데요~ 근데 이것을 왜 한글을 사용하여 지은 노래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내방가사는 규중가사, 규중가도라고도 불리웁니다.

    작자와 연대가 미상이고 조선시대의 문헌에 있으며, 특히 영남지방에서 성행하였습니다. 한때 조선시대의 가사문학은 학자층을 중심으로 지어졌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민간에도 널리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학문과 문자교육은 한자 중심이어서 사대주의 사상에 젖어 있던 대부분의 학자·문인들은 세종대왕이 배포한 훈민정음, 즉 한글을 도외시하였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부녀자층에 쉽게 보급되어 여성의 아름다운 감성이 담긴 시가가 많이 창작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대부분은 내방가사들은 한글로 지어진 것이 대부분입니다.


  • 내방가사는 조선시대 양반 집안의 부텨자들 사이에 유행한 가사를 말합니다. 규방가사, 규중가도라고도 하는데 조선 후기 부녀자에 의하여 지어져서 전해진 가사를 모두 지칭하는 말로 조선의 여성문학의 대표적 갈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 전기, 중기에는 사대부 계층의 일부 학자층에서 가사문학이 주로 창작되었지만, 임진왜란 이후 영조, 정조 이후 부터는 일반 평민이나 부텨자들 사이에서도 활발한 창작활동이 일어났습니다. 내방가사가 주로 한글로 창작된 이유는 당시 정통적 문자교육이던 한문을 여성들이 배울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입니다. 사대부 계층의 학자, 문인들이 쓰지 않던 한글은 한문보다 훨씬 배우기가 쉬워 중인, 평민, 여성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연스럽게 여성들도 한글을 이용한 문학작품 창작활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형식이 비교적 자유로운 가사문학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 내방가사는 한글만의 문학 장르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 원리를 알 수 있는 '한글'(훈민정음)이 어떠한 활용 단계를 거쳐 공식 문자의 지위를 얻어 가는지, 그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이러한 내방가사는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여성의 주체적 활동을 보여주며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당하였던 여성이 주도한 창작 결과라고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