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유치원 들어가는게 생각보다 어렵나요?

지금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니는데 5살되면 유치원을 보내려고합니다~주변에서 유치원 들어가기 힘들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유치원에 입학하는 것이 어려운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원아 수는 많은데 유치원 수가 적다면 입학하기가 힘들 수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인지도가 높은 유치원일수록 지원자가 많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같은 경우에 출생률 저하로 인해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다.

    해당 사항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겠습니다.

    유치원 입학은 11월에 '처음학교로입학시스템'을 통해서 원서접수를 하게 됩니다.

    일정을 참고해서 유치원의 모집요강을 확인하고 교육과정설명회도 들어보면 유치원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인기있는 유치원에 가려면 인원이 많아 추첨을 통해 뽑힐수도 있습니다 다만 인기없는 곳은 바로 갈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유치원 입학 경쟁률은 지역, 유치원 종류, 입학 시기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어린이집보다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유치원 입학을 준비하는 부모님들은 미리 정보를 수집하고, 입학 절차와 경쟁률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치원 입학 경쟁률은 지역 및 유치원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공립 유치원의 경우 경쟁률이 높아 입학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따라서, 유치원 입학을 원하는 경우 해당 유치원의 모집요강을 꼼꼼히 확인하고, 아이의 강점을 부각하는 서류 작성과 면접 준비를 통해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객관적인 추첨 시스템을 이해하고,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유치원 입학은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이므로 부모님께서는 충분한 고민과 준비를 거쳐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유치원 들어가기는 힘듭니다.

    왜냐하면 추첨제로 들어가기 때문 인데요. 추첨 순위가 있습니다.

    우선모집과 일반모집으로 나뉘는데요.

    우선모집은 법정소득층, 국가보훈대상자, 북한이탈주민 순 입니다.

    일반모집을 자격과 상관없이 유치원별 모집 대상에 맞는 유아들을 선별해 주는 제도 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유치원이라고 들어가기 어렵다기 보다는

    주변에 수요 대비 유치원 수가 부족하면, 대기 인원이 많아지게 되고 들어가기 힘들어 집니다.

    요즘에는 어린이집에서도 유치원 만큼의 교육 과정을 갖추고 있으니

    현명한 선택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역마다 다를 수 있어요. 대개 병설보다는 단설이 인기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신도시로 아파트 입주로 학생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면 들어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인기가 있어서 많이 몰리는 유치원인 경우에는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유치원이 그렇지는 않으니 주변에 유치원들을 잘 살펴보시면 갈 곳이 충분히 있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당연히 유치원은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어느 지역이나 빈자리가 남은 유치원은 있으니까요. 하지만 각자가 원하는 유치원에 들어갈 수 있는 경쟁률이 그만큼 심하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들이 나오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유치원에 들어가는 것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수있으며

    쉽게 들어가는곳도 있는반면 인기가 많다면 그렇지 않은곳도 있을수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