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저축률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한달 340만 월급이라 가정하면 매달 120씩 저축하는건 어떤지궁금합니다. 비중이요 나쁘지않은지 여쭈어봅니디. 저축률.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30%가까이 저축을 하시는 것에 대하여 나이대에 비해 저축을 많이 하신다고 볼 수 있습니다.
30대 중반의 경우 자녀와 내집마련, 결혼, 생활비 등 상당히 많은 금액이 나가지만 현재 미혼 상태로 저축에 대한 여유가 있다고 봅니다.
다만 현재 결혼을 준비중이시라면 저축의 비중을 더욱 늘리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미혼인 상황에서 돈을 더 모으셔야 향후 저축을 못하게 되더라도 여유가 생길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 비중보다 미혼인 점을 감안해 저축률을 더 확대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 340만 원 중 120만 원 저축은 약 35% 저축률로, 일반적으로 매우 우수한 수준입니다.
보통 월 소득의 20~30% 저축을 권장하는데, 이보다 높아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습관으로 평가됩니다.
단, 생활비와 비상금 확보에 무리가 없다면 지속 가능한 좋은 저축 비중입니다.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 340만 원에 매달 120만 원을 저축하시는 것은 저축률 약 35%로, 이는 한국 전체의 저축률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가계의 순수 저축률은 이보다 낮은 경우가 많으며, 월급 300만 원대 직장인들이 월 100만 원 저축을 목표로 하는 것을 고려하면 120만 원 저축은 매우 훌륭한 수준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생활비, 주거비 등 고정 지출을 제외하고 35%의 저축률을 유지하는 것은 평균 이상이며, 재정 관리를 매우 잘하고 계신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저축 패턴이 생활에 무리가 없다면 꾸준히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앞으로 소득에 여유가 생긴다면 저축의 일부를 투자로 분산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적립식 펀드, ETF, 장기 채권 등 다양한 투자 상품을 통해 자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저축률은 이미 좋은 수준이므로, 너무 무리하게 저축 비중을 늘리기보다는 균형 잡힌 자산 관리 전략을 세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현재 저축률은 매우 긍정적인 수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월 340만원의 세후 월급을 기준으로 매달 120만원을 저축하는 것은 저축률 비중도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340만원에서 120만원씩 저축을 하게 되면 저축률이 약 35.3%정도 인데,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저축률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20~30%정도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그 이하나 이상을 저축하는 분도 계시고요.
월급대비 35%이상의 저축률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다만, 현재의 소비 수준과 미래 계획을 고려하여 저축액이 부담스럽거나 상황에 맞는지 점검해보시고 꾸준히 저축하신다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급 대비 저축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여러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혼자 사시면 340만원을 버시고 120을 저축하시는 것은 적게 저축하는 편입니다.
그 정도 상황이라면 경우에 따라서는 많게는 70퍼센트 이상도 저축이 가능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채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그리고 집은 월세나 관리비가 따로 있을까요? 그런게 없다고 보면 저축률이 낮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