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인플레이션은 어떻게 산출하게 되는 건가요?
가끔 경제 뉴스 기사를 보다보면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 하향된 영향으로 국채 금리가 하락했다거나 혹은 예상보다 높은 기대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우려가 커졌다는 기사를 보게 됩니다.
근데 여기서 나오는 기대인플레이션은 어떻게 산출하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이 어렵게 들리지만 간단히 풀면 사람들이 앞으로 물가가 얼마나 오를까를 미리 가늠한 값이라고 보입니다. 산출 방식은 딱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쓰인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국채 중에 물가연동국채라는 게 있는데 이자율을 비교해서 시장이 예상하는 물가상승률을 뽑아내는 방식이 있습니다. 또 설문조사로 소비자나 기업한테 물가 전망을 묻기도 하고요. 중앙은행이 참고하는 지표도 이런 조사 결과와 채권시장에서 계산된 수치를 함께 보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대인플레이션의 산출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을 산출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 있는데
첫째는 소비자동향조사를 통해서 설문을 통한 값의 중앙값을 산출하거나
둘째는 금융 시장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일반 국채와 물가연동국채 금리 차이로 산출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추측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경제 지표와 시장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산출됩니다. 주로 설문조사와 금융 시장 지표를 토해 측정하며 이 두 가지 방식이 서로 보완적으로 사용됩니다.
설문 조사를 통한 측정
소비자 대상 설문: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향후 1년, 5년 등의 물가 상승률을 어떻게 예상하는지 질문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합니다.
전문가 대상 설문: 경제 전문가, 애널리스트,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니다.
금융 시장 지표를 통한 측정
물가연동국채(TIPS) , 인플레이션 스왑
기대 인플레이션은 설문조사와 시장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출하여 이 수치는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결정이나 국채 금리 등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처럼 소비자설문조사를 하거나 또한 연이나 경제 연구기관이 경제학자나 애널리스트을 대상으로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또한 일반 명목채권에서 물연동국채금리를 제외한 부분을 통해서 기대인플레이션율을 간접적으로 조사해서 추정하며 이들을 기반으로 하여 기대인플레이션이라율이라는 지수화해서 발표하고 내부적으로 데이터로 참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미래 물가 상승에 대한 시장, 가계, 기업의 예상치를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산출 방식은
시장기반방식: 국채와 물가 연동국채의 금리 차이를 통해 산출
설문 기반 방식: 소비자, 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방식
이며 뉴스에 나오는 값은 시장 기반 방식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