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삼국시대 신라에 있었던 '동시전'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궁금합니다.

삼국시대 신라에도 시장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시장을 관리했다고 들었는데 삼국시대 신라에 있었던 '동시전'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시대 수도인 경주에 설치된 동시(東市)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509년(지증왕 10)에 설치한 관서입니다.

    신라는 469년(자비왕 12)에 경도(京都)의 방리명(坊里名)을 정하여 수도의 행정조직을 정비하였고, 487년(소지마립간 9)에는 처음으로 사방에 우역(郵驛)을 설치, 해당 관서로 하여금 관도(官道)를 수리하게 함으로써 교통 도로망을 정비하기에 이르렀다.

    수도와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 도로망의 정비는 물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여 사방의 물화(物貨)가 수도에 모이게 되었다. 이에 490년에는 서울에 시사(市肆)가 설치되어 물화 유통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지증왕(智證王)대는 권농정책(勸農政策)과 우경(牛耕)의 장려로 농업생산력이 크게 증대되었다. 또 주·군·현제(州郡縣制)의 실시로 지방에 대한 통제력도 점차 강화되어 공부(貢賦) 수취도 보다 활발해졌다.

    5세기 이전의 신라는 재지 수장층(首長層)을 통한 공납(貢納) 지배가 주요한 재정수입원이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특산물이나 노동력을 중앙에 복속의 징표로써 바치는 체계였다. 따라서 그 수요가 부족한 경우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5세기 후반 무렵부터는 지배 영역이 확대되고 국가의 일원적인 통치질서가 성립되면서 공납물로 충당할 수 없는 부분은 국가가 관영 수공업을 운영하거나 지방의 수공업자를 동원하여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중앙 관부와 관영 수공업장의 물품 수요 때문에 관시(官市)와 관상(官商)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이에 509년에는 기존의 시장을 정리, 개편하여 동시를 개설하고 그 관리감독관청으로서 동시전(東市典)을 설치하였다. 동시전은 시장개폐의 시각, 도량형의 사용, 상인 간의 분쟁, 어용상품의 조달, 잉여생산물의 판매 등의 업무를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동시전의 관원으로는 우두머리인 감(監) 2인, 대사(大舍: 경덕왕대에 主事로 고침) 2인, 서생(書生: 경덕왕대에 司直으로 고침) 2인, 사(史) 4인이 있었다. 감은 나마(奈麻)에서 대나마(大奈麻)까지의 관등소지자가, 대사는 사지(舍知)에서 나마까지의 관등소지자가, 서생은 선저지(先沮知)에서 대사까지의 관등소지자가 임명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시전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시대 수도인 경주에 설치된 동시(東市)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509년(지증왕 10)에 설치한 관서. 신라시대 수도인 경주에 설치된 동시(東市)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509년(지증왕 10)에 설치한 관서.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시전은 신라때의 관청으로 수도인 서라벌에서 설치한 상설시장 가운데 동쪽에 있던 동시를 관리했습니다.

    동시 및 동시전의 설치로 인해 경주는 상업도시적 면모를 갖추게 되었고 그 뒤 695년 서시와 남시가 설치됨으로 시장기구는 정비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09년 기존의 시장을 정리 개편하여 동시(東市)를 개설합니다.

    동시의 관리 감독기관으로 동시전(東市典)을 설치하여,

    시장 개폐의 시각, 도량형의 사용, 상인 간의 분쟁,

    어용 상품의 조달, 잉여 생산물의 판매 등의 업무를 처리한 기관입니다.

    동시와 동시전의 설치로 경주는 상업 도시적 면모를 갖추게 되었으며,

    나중에 서시(西市)와 남시(南市)가 설치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시대 수도인 경주에 설치된 동시(東市)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509년(지증왕 10)에 설치한 관서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