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트럼프 관세 정책에대한 대응을 우리나라는 잘한건가요?

이번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너무나심한 과세정책으로 다른나라들을 압박했잖아요 그랴서 마노은 나라들이 힘둘오했는데

우리나라는 잘방어 한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대비 괜찮은것으로 보입니다 OECE주요국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15%부과되면서 선방한 모습을 보였고 특히 그과정에서 바이든이전부터 미국에서 이미 대기업들이 발빠르게 직접투자를 늘려왔고 바이든때 가장 직접투자를 많이 늘린게 한국기업이 1위였습니다

    즉 이런 공장이 실제 트럼프때부터 준공이 되면서 이미 이들은 관세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빠르게 미국내에서 대응이 가능한시점입니다 즉 국내의 대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이런 위험에서 자유로워짔고 다른 국가대비 상대적으로 가격우위가 생기고 미국내에서 자유롭게 대응이 가능해진다는점에서 한국은 크게 나쁜상황으로 보이지는 않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비슷한 수준의 투자로 막은것을 보면 관세 정책에 잘 방어한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 비용 지불이 아니고 투자를 하는 분야들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 효과를 누릴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지금 알려지기로는 우리의 경쟁 상대인 일본의 자동차에는

    관세가 17.5퍼센트가 되었고

    한국은 15퍼센트로 막았기에

    선방헀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의 경우 위대한 미국을 다시 만들자 라는 구호와함께 시작된 것으로 미국 중심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미국이 아닌 국가들에게 추가적인 관세를 매겨서 미국의 손실을 만회하자는 것이 깔ㄹ려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자동차 부분이나 철강이나 알루미념 산업에 관세로 인해 부정적인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이러한 관세 정책이 그냥 선방했다 정도이지 이를 잘했ㄷ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결과만 놓고 보면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꽤 적극적으로 움직인 편입니다.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일부 품목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세율 인하를 유도한 사례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나 철강처럼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은 끝내 관세가 유지돼서 완벽한 방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특히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업종은 타격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다른 나라처럼 전면 보복관세 전쟁으로 가지 않고 협상으로 일정 부분을 막아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결국 완전한 승리는 아니지만 최악의 상황은 피한 셈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미국에 비해 우세한 강점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아니라고 봅니다.

    세계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관세 상황에서 나름대로 처음 조건보다 많은 면에서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얻은것은 인정않하고 잃은것에만 예민하게 구는 모습들이 있는데 대체적으로 잘 해결되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을 위해 다양한 외교 채널을 가동했습니다. 정상회담은 물론, 고위급 통상 협상을 통해 관세 유예나 면제 조치를 설득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철강 관세와 같이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 폭탄을 맞았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한국은 미국에 대한 투자 확대, 첨단 산업 협력 등을 강조하며 미국 경제에 기여하는 전략적 파트너임을 적극적으로 알렸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시하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부흥이라는 가치를 공유한다는 점을 부각함으로써 관세 부과를 완화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