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

돈오점수는 어디서 나온말이며, 무슨의미인가요?

어디선가 돈오점수라는 말을 들은것 같은데, 잘생각이 나지 않아서요, 돈오점수는 어디서 나온말이며, 무슨의미인가요? 돈오점수역시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인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돈오는 단박에 깨닫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는 점진적인 수행을 말합니다.

    불교 수행자가 궁극적을 추구하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는 순간적인 깨달음이 필요하고 그렇게 깨달음을 얻었다 해도 점진적ㅇ니 수행, 즉 점수는 계속해야 한다는 선종 불교수행 뿐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돈오점수'는 중국 고대 설화에서 따온 관용구가 아니라 한국 관용구입니다. "돈오점수"는 말 그대로 "사자 점수"를 의미하며 실제로 하지 않은 일에 대해 공로를 인정받거나 인정을 받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관용구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먹이를 잡지 못했지만 다른 동물들이 너무 무서워서 맞서지 못했기 때문에 여전히 죽인 것으로 인정받은 사자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돈오'는 단박에 깨닫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는 점진적인 수행을 말한다. 불교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는 순간적인 깨달음이 필요하고, 그렇게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도 점진적인 수행, 즉 점수(漸修)는 계속해야 한다는, 선종 불교 수행 방법론입니다.

    한국에서는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 지눌이 주장하였는데, 지눌의 창작은 아니고 당나라의 승려인 화엄종 제5조 규봉종밀(圭峰宗密, 780~841)이 제시한 수행방법론에서 따온 것입니다.

    지눌은 돈오점수를 설명하기 위해 비유를 두 가지 사용했는데, 하나는 태양이 뜨고 이 와도 겨우내 쌓인 눈이 한 번에 녹지는 않는다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어린아이가 감각기관을 갖추고 세상에 태어나지만 인간으로서 제 기능을 하려면 어른이 되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먹고 마시고 자고 운동하고 배우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