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요미 요미 귀요미
요미 요미 귀요미

우리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였는데, 경제 및 질 좋은 일자리들이 1999년도 비교해 보았을때 많이 늘어나고 변화하였나요??

1999년도에 한국을 떠나 미국에서 공부하고 직장생활 하던 중 한국이 선진국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해외에서의 한국 이미지가 워낙 선진국 이미지여서 한국이 미국처럼 변화해서 질 좋은 일자리가 많을 것이라는 꿈을 가지고 한국으로 몇년전에 돌아왔는데, 한국의 첫인상은 선진국이 된 것 같았고 화려해보였습니다. 그런데 살면 살수록 극소수의 대기업 일자리를 제외하고 대다수의 일자리가 박봉이고 업무환경이나 질이 안 좋은 일자리가 대부분이라고 느껴지는데, 이것이 저의 주관적인 느낌이 아니라 현실이고 사실인 것이죠??


제 기억속의 1999년도의 한국은 대다수 일자리가 박봉이고 업무환경과 질이 안 좋았죠. 그때와 지금을 비교했을때 바뀐게 없다고 느껴지는데, 제 느낌이 맞는거죠??


우리나라는 선진국이 되었는데도 미국처럼 업무환경 좋고 질좋은 중소기업이 없는 이유가 뭘까요??


만약, 제가 느끼는 느낌이 맞다면, 한국이 선진국이 되었는데도 질좋은 일자리가 없고 박봉에 업무환경 안좋은 일자리가 대대다수였던 1999년과 비교해서 변화가 없고 달라지지 않은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성장한 '낙수효과'를 기대하면서 경제성장을 이끌어왔어요. 그런데 보통은 낙수효과로 대기업의 사정이 개선되면 중소기업들의 사정도 개선되어야 하는데 대기업들이 중소기업들과 계약을 맺을때, 1년이나 2년등 장기계약이 아니라 구두계약을 맺어서 본인들은 피해를 보지 않고 중소기업들만 피해를 보는 계약을 맺고 있어요.

      게다가 중소기업이 체질개선을 통해서 이익을 늘리면 항상 손익계산서를 받아서 본인들이 준 이익보다 큰 경우 단가를 낮추어서 받으면서 중소기업의 이익을 편취하는 악질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보니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이 발전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대기업 중심의

      성장이 이루어지다보니 현재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의

      임금 격차 등이 상당히 벌어진 등 하였습니다.

      아무래도 양극화가 심해지는 것이 자본주의의 특성이고

      우리나라는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