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음식에 따라서 똥이나 방귀냄새가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방귀뀌거나 응가하면 그때그때 냄새가 다르던데요.. 이게 음식을 먹더라도 똑같이 똥으로 변하는것인데 왜 냄새가 달라지는 것인가요??

노란색음식을 먹던 파란걸 먹던 똥색깔은 거의 갈색이잖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식에 따라서 똥이나 방귀냄새가 달라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음식물은 우리 몸에서 소화되면서 다양한 화학물질을 생성합니다. 이 화학물질들은 우리 몸에서 배출되는 똥과 방귀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육류나 콩 등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아미노산이라는 화학물질이 생성되는데 이 화학물질은 악취를 유발하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똥과 방귀의 악취가 강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음식물의 성분에 따라서 우리 몸에서 소화되는 속도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과일이나 채소는 소화가 빠르게 되는 반면 지방이 많은 음식은 소화가 느리게 됩니다. 이렇게 소화 속도가 다른 음식을 함께 섭취하면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들이 서로 반응하여 똥과 방귀의 악취를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몸에서 소화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서도 똥과 방귀의 양과 악취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양의 음식을 먹으면 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들도 많아지기 때문에 똥과 방귀의 양과 악취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몸의 상태에 따라서도 똥과 방귀의 악취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화 기능이 좋은 사람은 음식물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들을 빠르게 배출하기 때문에 똥과 방귀의 악취가 적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화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은 음식물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더 많은 화학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에 똥과 방귀의 악취가 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식에 따라서 똥과 방귀의 악취가 달라지는 이유는 음식물의 성분 소화 속도 섭취량 그리고 우리 몸의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음식을 선택하고 소화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 똥과 방귀의 악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 몸은 모든 음식을 완전히 소화할 수 없습니다. 특히 섬유질이 많은 음식물은 소화되지 않고 대장에 도달하여 여기서 세균에 의해 분해됩니다. 이 과정에서 방귀의 주요 원인인 메탄,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같은 가스들이 생성됩니다. 계란, 양파, 마늘 등 황을 많이 함유한 음식들을 섭취하면, 이 황이 황화수소 가스의 형태로 분해되어 방귀의 냄새가 더욱 지독해질 수 있습니다. 육류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민, 황화물 등이 방귀 냄새를 강하게 만듭니다. 특히 육류는 분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이 방귀의 냄새를 더욱 강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우선 보통 대변이 갈색인 이유는 담즙(쓸개즙) 때문인데요, 담즙은 지방을 소화시키는 효소로, 간에서 만들어져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음식물과 만난 뒤 장으로 내려가는데, 담즙은 장내세균과 만나면 갈색·황토색·노란색 등으로 변합니다. 담즙은 원래 초록색을 띠며 갈색·황토색·노란색 같은 대변을 보는 것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합니다. 대변 냄새는 먹는 음식에 따라 바뀔 수 있는데, 일례로 고기를 많이 먹으면 장내세균 중 유해균의 수가 늘어나 냄새가 심하게 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음식에 따라 방귀와 대변의 냄새가 달라지는 주된 이유는 음식에 포함된 성분과 장내 미생물의 작용 때문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은 소화 과정을 거치면서 영양소가 흡수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장내 미생물이 음식 찌꺼기를 분해하며 다양한 가스를 생성합니다. 이 가스들이 바로 방귀와 대변의 냄새를 결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황을 포함한 음식(양파, 마늘, 달걀 등)을 먹으면 황화수소라는 악취가 발생하고,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면 부패취가 나게 됩니다. 반면, 대변의 색깔은 주로 담즙색소에 의해 결정되므로 음식의 색깔과는 큰 관련이 없습니다. 결국 똑같이 대변이 되더라도 음식에 따라 냄새가 다른 이유는 장내 미생물이 음식 성분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똥은 소화가 되고 남은 찌꺼기들 입니다.

    대장에는 많은 세균들이 있고 대장으로 들어온 소화되고 남은 물질들이 이 세균들에 의해 발효됩니다.

    남은 물질들을 세균이 한번 더 분해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가스가 발생합니다.

    먹은 음식에 따라 대장으로 들어온 음식의 찌꺼기들도 성분이 다릅니다.

    탄수화물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었다면 대변도 탄수화물을 많이 포함합니다.

    이것이 발효되면 주로 물과 메탄, 이산화탄소 등이 발생합니다.

    이 기체들은 냄새가 없는 기체입니다.

    하지만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먹었다면 단백질에 포함된 황 성분에 의해 황화수소가 발생합니다.

    황화수소는 달걀썩는 냄새가 납니다.

    또한 단백질성 음식을 많이 먹으면 스카톨도 더 많이 생성되는데 이 물질이 대변 냄새의 주요 원인입니다.

    결국 먹은 음식에 포함된 성분이 대변의 성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냄새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음식물이 소화되면 내장에서 생성되는 가스와 세균의 활동에 의해 방귀와 대변의 냄새가 발생합니다. 음식물의 성분에 따라 소화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의 종류와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냄새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황홀산이 많이 포함된 식품을 섭취하면 방귀나 대변의 냄새가 썩은 계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섭취한 음식물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세균이 활동하면서 특정 화합물을 생성하여 냄새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우리 장에는 수백억 개의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살고 있고 이 세균들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을 분해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 과정에서 섭취한 음식물에 따라 서로 다른 가스를 만들어 냅니다.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나 계란, 콩류 등의 음식은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황화수소, 메탄, 암모니아와 같은 냄새 물질을 생성하고 이러한 물질들은 똥과 방귀에 독특한 악취를 유발합니다. 그리고 탄수화물이 풍부한 곡류나 과일, 채소 등의 음식은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가스는 냄새가 거의 없지만, 복부 팽만감이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 과일, 통곡물 등의 음식은 장내 세균의 발효 과정에서 다양한 가스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가스는 냄새가 강하지는 않지만, 복부 팽만감이나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지 않으면 장내에서 더 오래 머물게 되고, 이는 장내 세균이 음식물을 더 오래 발효시키며 더 많은 가스와 냄새를 생성하며 다른 냄새의 방귀를 만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인체 소화 시스템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음식물을 소화하고 배설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음식물이 소화되는 동안 소화기에서 다양한 화합물이 생성되고 배출됩니다. 이러한 화합물들이 방귀나 대변에 냄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냄새가 달라지는 이유는 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합물들의 조합과 양, 소화기 내의 세균 활동, 개인의 건강 상태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식물이 변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합물들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냄새가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