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2023년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어떻게 됐나요?

2023년에 우리나라으 수출액은 얼마였고 수입액은 얼마였나요?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어디였고 수입에서는 어떤 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의 정보를 참고부탁드립니다

    무역수지:

    • 수출액: 6,322억 5,800만 달러 (전년 대비 7.5% 감소)

    • 수입액: 6,425억 7,200만 달러 (전년 대비 12.1% 감소)

    • 무역수지: 103억 4,600만 달러 적자

    주요 수출 품목:

    • 반도체: 15.35%

    • 기계류: 12.81%

    • 자동차 및 부품: 11.34%

    • 광물 연료: 7.01%

    • 플라스틱: 5.86%

    • 철강 및 철강 제품: 4.23%

    • 기타: 43.4%

    주요 수입 품목:

    • 광물 연료: 25.01%

    • 기계류: 9.17%

    • 반도체: 7.08%

    • 기기 및 장치: 4.88%

    • 자동차 및 부품: 3.23%

    • 광물, 슬래그 및 재: 3.13%

    • 철강 및 철강 제품: 3.02%

    • 유기 화학 제품: 2.62%

    • 기타: 42.86%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2023년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약 10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년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수출은 전년 대비 7.4% 감소한 6,327억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12.1% 감소한 6,42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반도체 산업이었습니다. 특히 12월에는 반도체 수출이 110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8% 증가하며 수출 회복을 주도했습니다. 또한 대미 수출이 110억 달러를 돌파하며 중국을 제치고 최대 수출 대상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한편, 중소기업의 수출 실적은 상대적으로 선전했습니다. 2023년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 대비 2.3% 감소한 1,118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이는 전체 수출 감소율 7.5%에 비해 양호한 수준입니다. 중소기업은 3년 연속 1,100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유지하며 수출 감소세를 완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2023년 대한민국의 수출액은 약 6,300억 달러로 전년 대비 7.8% 감소하였으며, 수입액은 약 6,450억 달러로 11.8% 감소하여 무역수지는 약 15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자동차, 석유제품, 자동차 부품, 합성수지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수입 품목에서는 원유, 가스, 석탄 등 에너지 관련 제품이 주요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에너지 수입이 감소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과 ICT 수요 감소 등이 수출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