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물건 사는 행위에 집착하는 딸, 어떻게 하면 좋은가요?

물건을 사는것에만 치중하고, 아껴쓰거나 물건을 실제로 사용하는 시간은 적습니다. 어떤 것들이 잘못되었기에, 이런 행동들이 번복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물건을 사는 행위에 집착을 할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왜 그런지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상심리, 사랑의 표현, 광고나 유튜브 영향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원하는 이유를 함께 탐색하고 구매 대신 다른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활동을 제안, 스스로 고르기 도와주기 등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물건에 사는 것에만 치중하고 아껴쓰는 절약이 부족한 이유는

    알뜰한 소비방법과 돈을 절약해야 하는 이 이유에 대한 인지가 부족함이 커서 입니다.

    아이에게 필요로 하는 것은 경제교육 일 것 같습니다.

    경제교육을 통해 돈을 아껴써야 하는 이유와 알뜰한 소비를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이유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적절하게 설명을 해주세요,

    또한 물건은 꼭 필요로 하는 것만 구입을 해야 하고, 가지고 싶다 라고 해서 물건을 다 쓰는 습관을 가지지 않아야

    함을 인지시켜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소비를 할 때 이 물품의 목적이 정해지지 않은 채 단지 충동적인 감정에 의해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것은 충동->후회->반복이 계속 되는 거죠.

    집에 동일한 물건이 있는 경우에는 사지 않는 다거나, 하나를 사면 하나를 버리도록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딸이 물건 사는 데 집착하는 건 감정 결핍을 소비로 해소하려는 신호일수 있습니다. 순간적 만족감에 의존하며 자기 조절력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사는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구매 전 사용 목적을 스스로 말하게 하고 일정 기간 물건을 사용한 뒤평가하게 하며 소비보단 경험을 중시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딸아이가 물건을 사는 데에만 집착하고 실제로는 잘 사용하지 않거나 아끼지 않는 모습을 보면 엄마로서는 걱정과 안타까움 그리고 자책이 함께 밀려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즉각적인 만족감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식일 수 있습니다. 감정 조절이나 자존감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때 물건을 소비함으로써 잠시나마 즐거움을 느끼고 불안을 해소하려는 심리가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이러한 행동이 나타난다면 단순한 경제 교육보다는 왜 그런 욕구가 생기는지 아이의 감정 상태나 환경을 세심하게 살펴보고 대화를 통해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고 해소하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