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용접 온도는 대략 몇도인가요? 1000도 넘나요?

용접한 제품 실수로 만졌더니

뜨거운 것도 뜨거운건데 그냥

살이 터져서

피가 나네요. 얼마나 뜨거워야

피가나는거죠? 용접직후 철 만졌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용접시 금속이 녹는 온도는 보통 1,200도에서 1,600도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철(강)은 약 1,500도 이상에서 녹습니다. 용접 직후 금속 표면은 이 온도에 가까워 매우 뜨겁고, 만지면 심한 화상을 입을수있습니다.

    사람 피부는 약 44도 이상에서 화상을 입기 시작하며, 60도 이상이면 1초내에도 2도 이상의 화상을 입을수있습니다. 용접후 금속 표면 온도는 수백도에서 1,000도이상까지 매우 높기 때문에 직접 닿으면 피부가 즉시 손상되고 피까지 날수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 중이나 직후에는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용접한 부위를 만지지 않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안전을 위해 충분히 식힌후 접촉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용접 직후 금속은 500~1000도로 매우 뜨겁습니다. 이 온도는 즉시 피부 조직을 파괴하고 심각한 화상을 유발합니다. 차가운 물로 20분이상 피부를 진정시키고 빨리 병원에 가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용접 온도는 사용하는 용접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00도에서 3000도 이상에 이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크 용접의 경우 약 3000도에 도달할 수 있어요. 

    피가 나는 건 보통 60도 이상의 온도에서 피부 화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100도 이상에서는 진짜 심각한 화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용접아크의 온도는 용접방법에 따라서 다르지만, 4,000℃에서 15,000℃까지나 달합니다.

    용접작업은 이와 같은 고온을 지극히 손 근처에서 취급한다는데 특이한 성질이 있어서 장해나 사고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우선 고온에 원인이 되는 것을 채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용접도 종류가 여러가지 지만

    아크 용접의 경우

    대략적으로 6천도씨 이상 까지 올라갑니다.

    이는 철 용융점의 대략 4배정도 되는 온도로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아크 용접에는

    SMAW, MIG, CO2 용접(MAG), FCAW, TIG 용접

    SAW, PAW 등

    종류가 많고 그에 따라 온도차이는 있으나

    일단 철이 용융되는 방식이기에

    철의 용융점 1500 도씨 이상은 되는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용접이 끝난 후 벌겋게 달아있는 게

    검게 변했다 해서 온도가 바로 차갑게 식은 게 아니기에

    절대 맨손으로 만진다거나 해서는 안됩니다.

    그 외 특수 용접으로

    테르밋 반응을 이용하는 테르밋 용접 또한

    반응 시 발생하는 온도가 약 2800 ~ 3000 도의 열에

    산화철이 환원된 철이 용융되므로

    정말 조심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모든 용접이

    기본 1천 도를 넘어가는 열을 다루는 작업이다보니 굉장히 위험합니다.

    용접봉을 잘못 만지거나 떨어뜨려 피부에 닿아 화상을 입는 경우는 말할 필요도 없이 흔하며,

    용접 한 부위가 식은 줄 알고 만져서 화상을 입는 경우도 많습니다.

    용접 시 발생하는 불똥에 의한 화재또한 연간 천 건이상 발생 중인데

    다행히 TIG 용접(아르곤용접)의 경우에는 불똥이 거의 튀지 않아 안전하기에,

    이 방식을 요구하는 현장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