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인상 나이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생일은 1월12일 입니다.
실손보험만기일은 2023년 7월달 입니다.
실손보험 끝나기 전에 미리 실손보험 가입하고 싶은데요
올해 가입하는게 낫나요?
아니면 내년 생일 지나기 전까지 하는게 낫나요?
보험사에서 보는 기준이 년으로 보는지 생일기준으로 보는지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실손보험의 만기는 물론 있습니다만, 또다시 다른 상품으로 가입을 하시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현재 가지고 계신보험이 1년갱신 15년 만기인경우에 15년이 도래되었을 때 보험회사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재가입의사를 확인 할 겁니다. 그때 재가입 의사를 밝히시면 재가입이 되는 것이고 이 과정을 몇세때까지 진행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약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보통 90, 100세이죠. 재가입이 될 때에는 현재의 판매상품(4세대실비)전환되어서 재가입이 될 겁니다.
보험의 나이는 만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만나이에서 +6개월이 지나면 만나이+1살하시면 되고 6개월이전은 만나이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23년 7월이 갱신만기인지 25세 또는 30세만기인지
25,30세 만기라면 지금 전환 하면되고
그게 아니면 갱신만기이니 그냥 내비두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보험사에서 보는나이는 따로 있습니다
본인 생년월일 기준으로 +-6개월 기준입니다
주민등록날짜가 1월12일 이면 매년 7월12일 기준으로 보험나이가 올라갑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한국식 나이(대부분 사용하고 있는)와 만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험에서는 "보험나이" 라고 따로 사용하고 이 기준으로 적용하게 됩니다.본인 생년월일에 + 6개월을 더하면 그게 본인 보험나이 상령일이며, 보험나이 1살이 증가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2022년 기준 생년월일 "940112" 이라면 → 6개월을 더한 2023년 7월12일이 본인 보험상령일 입니다.기왕이면 보험나이 1살이 먹기전에 가입을 하는게 좋긴하지만
실비는 애초에 갱신형 상품밖에 없고, 어차피 거의 평생을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 상품입니다.
그리고 실비는 손해율이 가장 높은 상품인만큼 고지의무에 해당되는 병력사항이 있으면 심사를 좀 까다롭게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험만기일이 2023년 7월이 맞다면
건강할때 하루라도 빨리 신규 가입을 하는게 좋습니다.안녕하세요. 김선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미리 빨리 가입하시는게 좋습니다
해당궁금하신거나 추가로 더 알고 싶으시면 프로필 눌러주세요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고지사항이 없을 때 미리 준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종합 보험 내 실손이 맞으신가요?
만기가 짧다면 그 만기에 실비 종료일이 맞습니다.
🍀상세 문의 등은 프로필 확인하여 문의주세요.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은 중복가입이 안되는 상품에 해당이됩니다.
실손보험 만기되고나서 가입을하시거나 금액차이가없으시면 바로 해지 하시고 가입하시면 되실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에서는 1년에 총 3번 보험료를 상승시키는데요.
4월 8월 그리고 상령일날 보험료를 상승시킵니다.
상령일은 고객의 생일의 6개월뒤의 날짜를 말하는데요.
질문자님은 1월 12일이니 7월 12일날 보험료가 상승을 합니다.
그러니 적어도 내년 3월 말까지는 가입을 해야 보험료 상승전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실손보험은 1년단위 계약으로, 별도 해지의사가 없을 시 자동으로 갱신되며 이때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따라서 별도 재가입하실 필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보험에서 나이 계산은 보험 계약일 현재 피보험자의 실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의 끝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의 끝수는 1년으로 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이후 매년 계약해당일에 나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합니다.
현재 가입하는 부분과 1월에 가입하는 부분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