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오늘도달려보자구요
오늘도달려보자구요

다람쥐 겨울잠 자는 시기가 언제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붉은 날다람쥐 293 근희입니다. 우리 토종 다람쥐의 겨울잠 자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얼마까지 잠을 자나요 궁금하여 문의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붉은 다람쥐는 겨울 동안 진정한 의미의 겨울잠을 자지 않습니다. 대신, 겨울철에 활동량이 크게 줄어들며, 추운 날씨에는 보다 많은 시간을 보금자리에서 보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겨울잠과는 다소 다른 현상으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처럼 체온이나 신진대사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습니다.
    붉은 다람쥐는 겨울이 다가오면서 먹이를 찾는 활동이 줄어들고, 추운 날씨를 피해 보금자리에서 보내는 시간이 ㅁ낳아집니다. 이때 다람쥐는 먹이를 저장하기도 하며, 날씨가 좋은 날에는 활동을 계속 하는 등, 겨울 동안 생존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비축합니다. 그러므로, 겨울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겨울철 활동의 감소로 이해하시는 것이 적합합니다.

  • 우리나라 토종 다람쥐는 보통 10월 말에서 11월 초부터 겨울잠에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날씨가 추워지고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지면 본능적으로 겨울잠을 자는 것이죠.

    그리고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는 이듬해 3월 말에서 4월 초쯤입니다.

    그래서 겨울잠 기간은 날씨 변화나 개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4~5개월 정도입니다.

    그런데 다람쥐는 겨울잠을 자는 동안 완전히 잠든 상태가 아니라, 배가 고프면 깨어나 먹이를 먹고 다시 잠드는 반수면 상태를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다람쥐는 대표적으로 겨울잠을 자는 동물 중 하나인데요, 9월 하순경 평균 기온이 8~10℃가 되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하는데, 완전히 겨울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바깥 기온이 높아지면 깨어나 저장한 먹이를 먹고 다시 잠을 자는 반수면 상태를 유지하며 최종적으로 3월 중순경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겨울잠을 자기 전에 먹이를 잔뜩 먹고 살을 찌워서 지방을 몸에 저장하는데요, 반면에 다람쥐는 몸이 작아서 지방을 많이 저장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반수면 상태로 겨울잠을 자다가 날씨가 따뜻해지면 깨어나서 저장해둔 먹이를 먹은 후에 다시 잠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우리 토종 다람쥐는 보통 가을이 끝나갈 무렵인 11월 중순부터 겨울잠을 자기 시작해요. 겨울잠은 보통 3~5개월 정도 지속되며, 이는 연중 온도와 먹이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다람쥐는 보통 겨울잠을 잘 자지는 않고 겨울철 활동울 줄이고 저장한 먹이를 먹으면서 지낸다고 합니다.
    겨울이 오기전 가을동안에 먹이를 열심히 모아서 나무구멍속이나 땅속에 저장해두고 추운겨울동안 일정주기마다 깨어나서 그 먹이를 먹으면서 에너지를 유지한다고 합니다.

    특히 매우 추운날에는 아예 둥지밖에서 나가지않고 그안에서 뒹굴거리며 숨어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과같이 혼동될수는 있지만 다른동물들처럼 완전히 길게 겨울잠을 자는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보통 겨울이 시작되는 11월이나 12월부터 2월~3월까지 활동으 크게 줄어든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다람쥐들은 일반적으로 9월에 평균 기온이 9-10도가 되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합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 토종 다람쥐는 보통 10월 말에서 11월 사이에 겨울잠을 시작하며, 이 시기는 기온이 낮아지고 먹이 구하기가 어려워지는 시기와 맞물립니다. 이들은 완전히 잠에 들기보다는 깨어나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로 겨울을 나며, 3월이나 4월경 기온이 오르면 본격적으로 활동을 재개합니다. 다람쥐의 겨울잠은 주로 온도가 낮을 때 몸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생리적 적응으로, 이때 저장해둔 먹이를 먹기 위해 잠시 깨어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