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비례청약 한 주당 얼마인지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공모주는 균등청야과 비례청약이 있습니다. 비례청약은 돈을 많이 넣을 수록 많이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한 주당 얼마를 입금해야 하는지 어떻게 계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모주 비례청약 한 주당 얼마인지 계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를 앍 위해선 비례 배정으로 할당된 주식 수를 청약 신청 수로 나누면 비례 경쟁률이 계산되며
이 비례 경쟁률을 기반으로 계산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례청약은 (총 청약증거금 / 공모가) / 경쟁률로 1주당 배정수를 계산합니다. 경쟁률이 높을 수록 필요 금액이 커지고 단수는 추첨, 반올림 규칙에 따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례청약은 단순 계산이 아니라 청약수(얼마의 자금을 넣었는지)와 경쟁률에 따라서 정해집니다. 청약을 큰 금액으로 넣더라도 경쟁률이 아주 높으면 1주도 못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례청약에서 한 주당 얼마를 넣어야 하는지는 청약 경쟁률을 먼저 봐야 합니다. 총 청약 증거금과 발행 주식 수를 비교해서 경쟁률이 100대 1이면 한 주를 받으려면 청약가의 100배 증거금을 넣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예를 들어 청약가가 2만원이고 경쟁률이 150대 1이면 300만원을 넣어야 한 주를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다만 경쟁률은 청약 마감 시점에 확정되기 때문에 중간에는 대략적인 추정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예상보다 조금 더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례청약 한 주당 필요 금액은 공모가에 청약증거금률을 곱하여 계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공모가가 2만원이고 증거금률이 50%라면 한 주 당 필요한 금액은 10,000원 입니다.
비례 청약의 경우 총 청약 주수 대비 본인이 넣은 청약 주수 비율로 배정이 되므로 원하는 주수 X (공모가 x 증거금률)만큼 입금 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례청약은 청약주수와 현재의 경쟁률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증권사는 IPO를 진행시 주관사를 맡게 됩니다 그리고 해당 IPO를 추진하느 기업은 신주발행으로 이루어지는게 일반적이며 여기서 신주에서 발행되는 신주발행량과 공모가를 산정해서 주관사인 증권사가 해당 물량만큼 기관들 청약물량과 개인들 청약물량을 나눠서 진행하는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개인들 청약물량이 10만주가 배정되었다고 예를들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보통은 절반은 5만주는 균등으로 배정되고 5만주는 비례경쟁으로 배정이 됩니다.
즉 5만주에 대해서 총 비례배정경쟁에 따라서 분배가 되는것입니다 예를들어서 5만주에 대해서 총 경쟁자들의 입찰한 경쟁수량이 100만주라고 한다면 만약 이는 경쟁률이 20:1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20주를 청약했다면 1주를 비례로 배정받게 되는것입니다
보통 청약시 금액 기준으로 하는게 아니며 보통 10주 20주 100주 200주 이런식으로 청약을 하게 됩니다 즉 결론적으로 비례배정이 5만주라고 한다면 총 경쟁수량이 나오게 될것이고 이 총경쟁수량에서 비례배정물량을 나눈값이 경쟁률입니다.
이에 경쟁률이 1000:1이라고 한다면 1000주를 비례배정으로 청약해야 1주를 비례배정으로 1주를 받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비례청약은 경쟁을 통해서 이뤄지며 최종적인 배정은 결국 청약금을 넣고 사람들의 비율에 따라 배정이 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대부분 10주인 최저금액인 50% 금액을 넣고 배정을 받게 되면 남은 금액은 돌려받는 방법으로 공모주를 청약하곤 합니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체 수수료 등의 경우가 발생할수도 있지만, 공모주라는 것은 추가적인 손실없이 수익이 보장되기에 만흔 사람들이 참여를 하고 이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