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그래도우유부단한땅강아지
그래도우유부단한땅강아지

개회충의 인체내 감염시 관련 질문입니다

1..인체는 개회충의 최종 숙주가 아니기 때문에 성충이 되기는 힘들죠? 유충 단계로 머물어 다양한 조직을 이동하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 많나요? 대체로 자각 증세 있겠죠?

2.개회충 일부는 인체내 오랜 기간 생존할 있다고 했는데 그럴 확률이높은 편인가요?

3.개회충 감염되어 양성이어도 최종 숙주가 아니기도 해서 대부분 인체내에서 구충제 복용 없이도 자연 치료되어 사멸할 확률이 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이 여러개라 각각 말씀을 드리면...

    1. 네, 맞습니다. 사람은 개회충의 최종 숙주가 아니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는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합니다. 개회충 유충은 소장에서 부화한 후 장벽을 뚫고 혈액을 통해 간, 폐, 뇌, 눈 등 다양한 장기로 이동하게 됩니다.

    1. 개회충 유충은 인체 내에서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비교적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모든 감염자가 그렇게 오랜 기간 유충을 보유하는 것은 아니며, 감염량이나 개인의 면역 상태 등에 따라 다릅니다. 또 유충이 특정 조직에 갇혀 휴면 상태로 존재하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랜 기간 생존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하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1. 대부분의 경우 구충제 복용 없이는 자연 치료되어 사멸할 확률이 크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개회충 감염이 확인되면,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구충제 치료를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유충이 인체 내에서 성충으로 자라지는 못하지만, 유충 단계에서도 다양한 장기를 침범하여 염증 반응과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눈이나 뇌와 같은 중요한 장기에 침범할 경우 영구적인 손상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1. 인체는 개회충의 최종 숙주가 아니므로, 유충 단계로 머물며 간, 폐, 눈, 뇌 등 다양한 조직을 이동하며 호산구 증가증을 동반한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로, 식욕부진, 체중 감소, 폐렴, 기침, 복통, 두통, 발진, 발작 등 다양한 자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개회충 유충은 인체 내에서 수년 이상 생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감염된 모든 경우에 장기간 생존하는 것은 아니며, 장기간 생존할 확률이 높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3. 개회충에 감염되어 양성으로 판정되었더라도 인체 내에서 성충으로 자라지 못하고 대부분 구충제 복용 없이도 유충 단계에서 자연적으로 사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