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기타 법률상담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에서 8촌까지 결혼이 금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는 민법에서 8촌까지의 혼인은 금지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6촌만 되고 아는 사이도 아니고, 8촌이면 거의 남일 텐데 왜 금지가 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근친혼의 금지이유는 유전학적 위험, 사회적·윤리적 문제, 그리고 가족제도의 안정성 유지라고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민법 제809조(근친혼 등의 금지) ①8촌 이내의 혈족(친양자의 입양 전의 혈족을 포함한다)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②6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6촌 이내의 혈족, 배우자의 4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인 인척이거나 이러한 인척이었던 자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③6촌 이내의 양부모계(養父母系)의 혈족이었던 자와 4촌 이내의 양부모계의 인척이었던 자 사이에서는 혼인하지 못한다.

    하나의 원인으로는 성리학 도입 후 금기시되어온 혼인에 대한 제한이 현재까지 이어져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관열 변호사입니다.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원래 8촌 이내의 혈족 간 혼인이 금지되었으나, 현재는 법 개정으로 4촌 이내의 혈족만 혼인이 금지됩니다. 이는 유전적 결함을 방지하고 가족관계의 도덕적, 사회적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8촌은 먼 관계라 유전적 영향이나 가족 간 혼란의 우려가 적다고 판단되어, 현재는 혼인이 허용됩니다. 예전에는 전통적 가족주의와 사회적 규범에 따라 더 넓은 범위의 혼인을 제한했으나, 현대적으로 규정이 완화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