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송류와 양치식물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식물 분류학에서 비종자 관다발 식물에서 석송류와 양치식물은 어떤 기준으로 구분하나요?
뚜렷한 기준이 없다면 왜 나눴는지 궁금합니다.
석송류와 양치식물은 잎의 형태와 포자낭의 위치로 구분합니다. 석송류는 작고 비늘 같은 잎을 가지고 있으며, 포자낭은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 반면 양치식물은 크고 잘 발달된 잎을 가지고 있으며, 포자낭은 잎 뒷면에 모여 있습니다.
석송류와 양치식물은 모두 포자로 번식하는 하등식물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석송류는 잎이 매우 작고 비늘 모양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줄기는 곧추서거나 기는 형태이며, 마디가 뚜렷하며 포자낭이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구실사리, 다람쥐꼬리 등이 있습니다.
양치식물은 석송류에 비해 잎이 크고 넓은 편입니다. 그리고 뿌리와 줄기, 잎이 뚜렷하게 구분되며 포자낭이 잎 뒷면에 붙어 있는 포자낭군을 이룹니다.
대표적인 종으로 고사리, 관중 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석송류는 작은 잎과 잎겨드랑이에 달린 포자낭이 특징이며, 양치식물은 석송류에 비해 잎이 크고 넓으며 잎 뒷면에 포자낭군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석송류와 양치식물은 모두 포자로 번식하는 비종자 관다발 식물이지만, 잎의 크기와 모양, 포자낭의 위치 등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구분됩니다. 석송류는 잎이 작고 비늘 모양이며, 양치식물은 잎이 크고 넓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식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석송류가 양치식물보다 더 원시적인 형태라는 것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