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마희열 전문가
마희열 전문가23.09.18

성대 결절로 인한 목 쉼 현상(해결 방법은?)

나이
6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당뇨
기저질환
당뇨

안녕하세요.

건강검진중 성대에 결절이 있다고 합니다,

평소에는 결절에 대한 불편함은 느끼지 못하지만 목이 빨리 쉬는 상태입니다,

수술을 해야하는것이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성대 결절의 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가습
    성대 점막의 윤활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충분히 가습해야 합니다.

    ②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는 성대 안정, 음성 치료, 인후두 역류 질환 치료가 있습니다. 음성 치료를 통해 80% 이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음성 치료에는 주로 침묵 요법(말을 하지 않고 속삭이거나 글씨를 써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초기의 성대 결절은 음성 치료로 호전되지만, 만성적인 성대 결절은 음성 치료만으로 치료하기 어렵습니다.

    ③ 수술적 치료
    최소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성 장애가 있는 경우에 수술을 시행합니다. 다만 직업상 음성 휴식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종류에는 겸자, CO2,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 미세 수술, 미세 피판법이 있습니다. 제거된 결절 부위의 점막을 재생시키기 위해 수술 후 음성을 휴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성대 결절은 대개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자라지 않습니다. 성대 결절은 기도 폐색으로 인한 호흡 곤란을 유발하지 않으며, 악성화 경향도 없습니다. 지속적인 음성 남용은 성대 결절의 섬유화를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성대 결절이 호전되었더라도 음성을 계속해서 남용하면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습니다.


  • 성대의 결절은 지속적으로 목소리의 남용 및 무리한 발성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보통은 큰 소리를 많이 내는 인구에서 나타나는데 주로 6-7세의 남아나 30대 초반의 여성, 가수, 선생님 등의 직업에서 호발합니다. 성대 결절은 쉽게 이야기 하자면 성대를 지나치게 사용하여서 성대에 굳은 살이 생기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음성 휴식, 음성 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먼저 시도하며 80% 정도에서 증상이 호전되는데, 핵심은 큰 소리를 내지 않고 목을 쉬어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하여야 하는데, 수술적 치료는 60% 이상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보존적인 치료료 최대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절은 목을 많이 쓸 수록 더 문제를 유발합니다. 일상 생활에는 문제가 없어도 말을 많이 하면 목이 빨리 쉰다면, 그리고 증상이 자주 유발된다면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