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잠자는 잠만보
잠자는 잠만보

홍선대원균은 처음부터 폐쇄 정책 햇나오

홍선 대원군은 처음부터 폐쇄 정책 햇는가요 아니먼 처음에도 개방정책 햇는데 폐쇄 정책으로 바꾸엇낭요 시대를 제대로 보지 못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승윤 축복
      승윤 축복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성대원군도 처음에는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래서 프랑스와 협상을 시도했지요. 러시아가 남진정책을 시도하니 우리를 도와주면 천주교를 용인하겠다고 제안했고

      프랑스에서 이를 거부하자 천주교 탄압이 시작됩니다.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개인의 철학도 있었겠지만 당시 정권을 잡은

      세력이 보수적이었고 서양세력과 무역을 하면 나라를 내어주어야 한다는 사고가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여기다가 병인양요, 신미양요

      등의 두차례의 서양의 공격과 오페르토 도굴사건으로 흥선대원군 아버지의 묘를 발굴해 하는 일까지 벌어지니 더욱더 문을 닫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조선은 유교의 나라이고 성리학의 나라여서 부모의 묘를 헤친 서양세력과의 교역은 있을 수 없는 일이

      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공감 부탁드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당시 서양세력이 동양을 점령하는 시기로 프랑스,영국 등이 교역개방을 외치며, 청나라의 북경까지 점령하는 시태가 벌어지니

      국내정세도 혼란스럽고 하니 쇄국정책 으로 한가지에 집중한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은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천주교 선교사와 접촉하여 프랑스와 동맹 체결을 통해 해결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선교사와 접촉이 지연되고 동맹이 실패하자 입장이 선회하였습니다. 또한 중국에서 천주교 탄압 소식과 조대비와 대신들의 반대 의견으로 1866년 병인박해로 이어졌습니다. 이후 제너럴셔먼호 사건이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은 통상을 거부 의지가 당화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