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미국은 소비국가라고 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미국은 소비국가라고 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소비가 잘 되야 경제가 산다고 하는데...

대한민국,중국은 제조업 중심인데...왜 미국은 소비 중심인지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은미 관세사
    김은미 관세사
    트레이드리더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소비 중심 국가라는 말은 미국 경제가 생산보다는 소비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으로,미국 국민들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 활동이 경제 성장의 주된 동력이라는 의미입니다.

    미국인은 평균 소득이 높아 소비 여력이 풍부할 뿐 아니라, 제조업보다는 금융, IT, 서비스업 등이 발달하여 소비를 촉진하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미국의 사회 문화는 저축보다는 소비를 장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비는 경제 활동의 마지막 단계이자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으며, 소비가 활발하면 기업들은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고용을 늘리게 됩니다. 이는 다시 소득 증가로 이어져 소비를 더욱 활성화하는 선순환을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

    소비인구 미국은 GDP 대비 소비 비중이 약 70%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이자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수입시장이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2년 미국의 개인소비지출 규모는 25조 4627억 달러로 전체 GDP 대비 비중은 68%에 달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인데, 이에 대하여 분석된 자료가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2858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경우 현재 제조업도 활발하지만 서비스업이 더 활발한 국가입니다. 이에 따라 서비스업 그리고 각종 소프트웨어들이 GDP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실제 미국 시가 총액 상위 종목들도 대부분 SW 기업들입니다. 이러한 미국은 수출입량만 봤을때는 대부분 무역수지가 적자이기에 소비국가라는 명칭으로도 불리지만, 수출입에 집계되지 않는 SW까지 고려하였을때는 국가수지에서는 흑자가 나고 있으며 지금도 연 3~4%씩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소비국가로 불리는 이유는 경제가 생산보다는 소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강력한 서비스 산업, 높은 소득 수준, 신용카드 사용 등 소비를 촉진하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가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소비가 증가하면 기업들은 생산을 늘리고 고용을 창출하며, 경제가 활성화됩니다. 미국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와 혁신적인 기업들 덕분에 소비 중심 경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경제에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 중심 경제는 부채 증가나 자원 고갈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미국은 생산과 투자를 포함한 다양한 경제 활동을 균형 있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대한민국과 중국도 소비 중심 경제로 전환을 추진 중이지만, 각국의 경제 여건에 맞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여러 연구에 따르면 미국은 GDP 대비 소비 비중이 약 70%에 이르는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으로 이 규모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입시장을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미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2022년 미국의 개인소비지출 규모는 25조 4627억 달러로 전체 GDP 대비 비중은 6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런 면으로 인하여 미국이 소비 국가로 판단 하고 자급자족이 되는 국가이면서 세계의 물품을 수입하는 국가로 유지 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