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0대 경제인구가 2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대 경제활동인구가 21년 만에 최저치까지 감소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40대는 가장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하는 세대로, 가족 부양과 소비·납세 등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데요.
노동시장에서 40대가 줄어들면 사회 활력이 떨어지고, 국가 미래를 책임질 기술혁신도어려워진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40대 경제인구가 2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40대 경제인구가 2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경제 주축인 40대는 노동 시장에서 소외된 여성이나 노인등의 경제 참여를 대폭 늘리고
고숙련 외국 인력의 이민 문턱을 낮춰 부족한 일손을 메우고 있어서 40대의
취업율이 가장 낮은 수준까지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40대 경제인구가 줄어든 이유는 과거에 태어난 아기 수가 적어서 지금 40대가 되는 사람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 경제 상황이 어려워서 일자리를 찾기 힘든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40대 경제인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와 같은 경우엔는 아무래도 청년층 다음으로 인구가 가장 크게 감소하는 등 이에 따라서 최저치까지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40대라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세대입니다. 본격적으로 저출산이 시작된 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구당 출생율이 1 내외가 된 시점이라 지금의 40대 노동 인구가 20여년만에 작은 것인데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가 일할수 있는곳이 없다기 보다는 5060대 실업인구가 너무 많습니다.
40대이후를 구하는 일자리에 40-60대가 수십명이 몰리는 것이 현실이죠 갈수록 심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