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5.21

왜 상처가 치유될때 가려운건가요?

넘어지거나 해서 살이 까진 경우에 딱지가 앉기 시작하면 감각이 아픈 감각에서 가려움으로 바뀌잖아요.

왜 상처가 치유 될때는 가려움이 커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 치유과정에서 염증 반응에 참여하는 화학 물질들이 피부 주변에 방출되며 신경을 자극하고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고,

    상처가 형성되면 피부의 수분이 증발되고, 건조한 피부는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처 난 자리에 피가 굳으면서 딱지가 앉는다. 딱지 밑에서는 상처 입은 혈관 대신 새 혈관이 생기고, 망가진 피부 세포들이 새롭게 만들어진다. 딱지는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외부 병균이 안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새살이 자라나면서 통각을 느끼는 신경종말에 자극이 가해짐에 따라 가려움증이 유발된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려운게 있고 안가려운게 있는데 가렵다면 주로 염증 면역 반응일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상처가 생기면 몸은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염증 반응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면역 체계의 일부입니다. 염증 반응에서는 혈관이 확장하고, 염증 세포가 부상 부위로 이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염증 매개체인 히스타민이 분비되는데, 히스타민은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딱지 밑에서 새살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통각을 느끼는 신경종말이라는 곳에 자극이 가해지면서 가려움이 느껴집니다.또, 상처가 치유되면서 분비되는 여러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해 가려움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가 생기면 면역 체계가 활성화되어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항염제와 같은 화학 물질이 방출되어 신경을 자극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 과정에서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면서 신경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가 아무는 과정입니다. 새 살이 생기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자극하여 가려운 것입니다. 또한 히스타민이 분비되는데, 이런 화학물질도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살이 자라면서 통각을 느끼는 신경종말에 자극이 가해짐에 따라 가려움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것이죠.

    또한 상처가 치유되면서 히스타민과 같은 물질들이 분비되는데, 그러한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하며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딱지가 앉는다. 그러면 피부의 표피 세포가 딱지 밑으로 파고 들면서 딱지를 분해해 서서히 제거하는데, 딱지가 사라지면서 새 피부가 자리 잡는다. 강동경희대병원 피부과 이예진 교수는 "딱지 밑에서 새살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통각을 느끼는 신경종말이라는 곳에 자극이 가해지면서 가려움이 느껴진다"며 "또, 상처가 치유되면서 분비되는 여러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해 가려움이 유발되기도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