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프랑스에서 부유세를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유럽 국가인 프랑스에서 시행중인 부유세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현재에도 부유세가 있는 건가요?

프랑스 정부가 어떤 이유와 배경으로 부유세를 만들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프랑스와 같은 경우에도

    정부의 재정이 어려운 등 이에 따라서

    부유세 등을 도입하는 등 한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프랑스에서 부유세를 도입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프랑스가 부유세를 도입하고자 하는 것은

    저소득층을 위한 수당 재원 충당 및 부의 불평등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13년 프랑스 정부는 소득 양극화를 해소한다며 '부유세'를 도입했었는데, 경제 회생에도 도움이 되지 않고 사회적 갈등만 야기했다는 비판속에 도입 2년도 안돼 폐지됐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랑스에서 부유세는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재정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1980년대에 처음 시행된 이 세금은 고소득층의 자산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여, 국가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이를 통해 경제적 불균형을 완화하고, 공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려 했습니다.

    현재 프랑스에서는 부유세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2017년에는 기존의 부유세가 재산세로 개편되었습니다. 새로운 세제는 고소득자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는 대신, 자산에 대한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경제 성장과 투자 유치를 위한 정책으로 해석됩니다.

    부유세 도입의 배경에는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사회적 요구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앞으로도 프랑스 정부는 부유세와 관련된 정책을 통해 공정한 세금 체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도모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한국과 같은 다른 국가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부유세를 도입하고 운영한 이유는 부의 재분배를 위한 부분이였고 현재는 부유세가

      존재하진 않습니다

    • 다만 우리나라도 소득세를 소득에 따라 차등으로 부과 하듯이 그러한 차등 과세는

      프랑스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랑스에서 부유세는 1982년에 사회적 연대와 재정 조달을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아래에서 부유세 배경과 이유. 그리고 현재 상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부유세의 도입 배경과 이유는 먼저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함입니다.

    부유세는 부유층의 재산 일부를 과세해, 소득 및 재산 불평들을 완화하고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1980년대 프랑스는 복지 제도 유지와 공공서비스 개선을 위한 재원이 필요했는데, 부유세가 이를 충당하는 방안으로 채택되었습니다.

    당시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프랑수아 미테랑의 사회주의 정부는 부유층에게 더 많은 책임을 부과해 사회적 정의를 구현하려는 의지를 반영했습니다.

    현재 프랑스의 부유세는 총 부동산 자산 가치가 130만 유로를 초과하는 경우 과세가 이루어지며, 과세율은 자산 규모에 따라 0.5%에서 1.5%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금융 자산 및 해외 자산은 부동산 자산세에서 제외 됩니다.

    프랑스의 부유세는 사회적 평등을 목적으로 한 정책이지만, 경제적 효과와 정치적 논란이 얽힌 복잡한 주제입니다.

    부동산 자산세로의 전환은 이러한 문제를 조정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일단 정부 차원에서는 재정 수입이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그리고 투표 제도 하에서는 소수에게 불이익을 주고 다수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 정치인에게는 중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소수의 슈퍼리지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정치인에게 가장 유리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