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추천 좋아요 감사합니다!!

연산군이라 묘호가 붙은 이유를 알려주세요

연산군 이 폐위된 후에 받은 묘호인걸로 알고있는데 왜 연산대군이 아니라 연산군이라고 불렸나요? 단종도 노산군이라 불린이유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화려한박각시41
    화려한박각시41

    안녕하세요. 김정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군이란 칭호는 쉽게 왕과 중전 사이에 태어난 적자 왕자들에게 붙는 칭호이고요. 서자인 후궁들 사이에 태어난 왕자들에겐 군이란 칭호가 붙습니다.

    조선시대 왕의 묘호에 처음 나라를 세운 왕에겐 조가 (태조), 국난을 극복하고 반정을 한 6명의 왕에게도 조의 묘호가,

    국가를 안정시키고 이어나간 왕에겐 종의 묘호가 붙습니다.

    그중 서자출신의 광혜군은 폐위되어 묘호조차 얻지 못한 왕이고요.

    연산군은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폭정과 많은 신하를 죽이고, 할머니까지 돌아가시게 한 결과 중종반정으로 인해 폐위되고 호칭도 대군이 아닌 군의 호칭으로 강등되어 버린 것입니다.

    노산군 엮시 폐위되어 대군에서 군으로 강등 되었으나 훗날 숙종때 단종으로 복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은 폐위된 왕, 종묘에 들지 못한 왕을 말합니다.

    폭정으로 폐위되었던 연산군과 광해군이 이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이 폐위되고 나서는 대군의 묘호를 쓰는 경우는 없습니다. 광해군도 광해대군이 아니라 광해군으로 그냥 왕족이였다 라고만 호칭을 남기는 것이지요. 한마디로 폐위된 왕은 대군의 자리도 아깝다는 뜻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