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우리나라의 24절기는 중국으로부터 온 것인가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24절기가 모두 한자로 되어 있어서 혹시 중국으로부터 온 것인가 싶기도 하고..

근데, 중국은 위도 차이가 어느 정도 나는 나라라서 24절기의 의미가 지역마다 다를수가 있는데..

24절기는 우리나라만 사용하고 있는 것인가요? 일본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절기는 한국,일본,중국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등분하여 계절을

      자세히 나눈것으로 절후,시령이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상 상태에 맞춰 붙인 이름으로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입니다. 일본도 마찬가지의 절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바와 같이 24절기는 중국에서 들여온 것이 맞습니다.

      24절기의 날짜를 보면 각 절기마다의 간격이 15일인데, 음력을 사용했다고는 하나 24절기의 이름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간혹 어떤 이들이 24절기가 음력으로 따지지만 사실 양력을 기준으로 만들었다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만드어졌다는 것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도 중국의 화북지방과 위도가 같다면 경도의 차이에 의해 하루 정도의 시간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도가 다르다 하더라도 북반구 내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기 때문에 화북지방을 중심으로 일정 기간을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음력도 계절에 따라 24절기를 적용하고 운용하여 그농사 및 어업활동에 참고하였습니다.

      대한민국처럼 국토의 면적이 동서남북으로 크지 않은 경우에는 위도와 경도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계절이 달라질만큼의 차이는 없고 절기에 따라 농사 시작 및 마무리 시기가 거의 일치합니다. .

      벚꽃이 피는 시기만 보아도 남쪽지방은 빨리 피고, 북쪽으로 갈 수록 늦게 핍니다. 반대로 단풍은 북쪽이 먼저 들고, 남쪽이 나중에 듭니다. 그 차이를 보면 보통 1~2주일 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전 지역 같은 날짜로 24절기를 확인하고, 지역에 따라 경험적으로 파종시기 수확시기 등을 조절하여 운용해오고 있는 것입니다.

      해당 절기는 남반구 쪽으로 가면 확연하게 달라집니다. 우리가 겨울일 때 호주의 경우는 여름입니다. 완전히 계절이 바뀌는 것이죠. 그것은 위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해당 절기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중국 화북지방의 절기가 기준이 된다면, 남반구의 절기도 반대로 계산하여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