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세븐나이츠뫕일게이
세븐나이츠뫕일게이

앵무새는 아이큐가 얼마나 좋길래 사람의 말을 할까요??

앵무새가 얼마나 똑똑하길래 사람처럼 말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니면 단순히 성대가 사람과 비슷해서 그런 목소리가 되는지 알고 싶으며 사람의 말을 따라하는 앵무새와 같은 동물이 또 어떤것이 있는지 잘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앵무새가 사람 말을 따라하는 건 단순히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성대 때문이 아니라, 특수한 발성기관과 높은 지능이 결합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은 성대로 소리를 내지만, 새들은 기관지 끝에 있는 발성기관으로 소리를 내는데요, 앵무새의 발성기관은 매우 정교해서 사람 목소리의 높낮이, 리듬, 억양까지 모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 목소리와 비슷한 소리가 나오는 것이지, 성대 구조가 사람과 같은 건 아닙니다. 또한 앵무새는 소리 학습 능력을 가진 몇 안 되는 동물인데요, 이건 단순히 자극-반응이 아니라, 특정 소리를 듣고 기억하고 자기 발성을 조절해서 비슷하게 재현하며 사회적 맥락(주인에게 관심 받기, 교감, 보상 기대) 속에서 소리를 활용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회색앵무는 연구에서 사람 단어를 흉내내는 것뿐 아니라, 색깔·숫자·사물 개념을 이해하고 단어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능력까지 보였습니다. 즉, 단순한 반사가 아니라 인지·기억·소리 모방 능력이 결합된 결과인 것입니다. 이러한 앵무새는 동물지능을 IQ로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인지 수준으로는 어린아이(약 3~5세) 정도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앰우새는 시린스크라는 발성기관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소리를 모방할수있습니다.

    회색앵무의경우 단순한 모방을 넘어서, 수나 색깔, 형태등을 구분하고 질문에맞는

    단어를 대답하는 사례가 보고되고있어 실제로 높은 인지능력을 갖고있다고 평가되고있습니다.

    이외에도 구관조나 까마귀류 등이 사람말을 비슷하게 흉내낼 수 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따라 하는 것은 단순히 성대가 비슷해서가 아니라, 뛰어난 인지 능력과 복잡한 발성 기관 때문입니다.

    앵무새는 조류 중에서도 상당히 영리한 편입니다. 특히 아프리카 회색 앵무새 같은 종은 5살 아이의 인지 능력과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소리를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단어를 특정 상황에 맞춰 사용하거나 짧은 문장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앵무새의 목에는 기관지라는 발성 기관이 있습니다. 이 기관지는 사람의 성대와는 구조가 다르지만, 소리의 주파수와 음색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관지를 이용해 사람의 말소리를 흉내 내고, 심지어 특정 사람의 목소리 톤까지 흉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앵무새 이외에도 구관조나 일부 까마귀, 흉내지빠귀 등이 주변의 다양한 소리를 흉내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앵무새는 성대라기보다는 시린크스라는 발성기관을 가지고있는데,

    이 발성기관으로 인간의 음성뿐아니라 다른 사물의 소리까지

    정밀하게 모사가 가능합니다.

    또한 대뇌의 전두피질의 유사영역과, 소뇌, 청각회로가 발달해있어서

    맥락에대한 학습과 의사소통까지도 가능하다고합니다.

    비슷한 능력을 가진 친구들은 까마기과인 까치나 큰까마귀,

    일부 유럽산찌르레기 등등에서 보고되지만,

    앵무새나 까마귀류가 특히 언어모방과 문제해결력이 가장 좋다고합니다.

  •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따라 하는 것은 지능보다는 발성 기관의 특징 때문입니다. 앵무새는 인간의 성대와는 다른 방법으로 소리를 내며, 성대가 아닌 울대와 혀 근육을 정교하게 조절하여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다른 동물로는 구관조, 까마귀, 까치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