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왜 사람은 거짓말을 할때 눈을 잘 못 마주치나요?
티비에서 보면 경찰들이 범죄자를 수사할때, 범죄자의 행동을 유심히 보면서 대답하는게 거짓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잖아요.
그 중에 눈동자가 흔들리고 눈을 잘 못 마주치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게 대표적이던데요.
왜 거짓말을 하면 눈동자가 흔들리거나 눈을 못 마주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을 할때는 거짓말이기에 들통이 날 것 같은 불안함이 어느정도 마음에 심리적으로 깔려지게 됩니다.
거짓말을 하다 거짓말이 밝혀질 경우 본인에게 돌아오는 피해등이 거짓말하는 당사자에게는 예측이 되기 때문에 불안함을 느껴 상대방의 눈을 마추치지 못하는 겁니다.
즉, 본인의 거짓말이 들통나는순간 상대로부터 질책이 들어 올것이기 때문에 미리 몸이 그럴경우를 대비해 반응을 하는 것입니다.
→ 상대가 본인과 대등하거나 강자일때 이런반응이 나옴.
단, 예외적으로 본인의 거짓말이 들통이나더라도 위협적으로 돌아오지 않을경우에는 눈을 똑바로 보고 거짓말을 할 수 있기도 합니다.
→ 어린아이에게하는 거짓말, 부모님께 하는 선의의 거짓말 등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을 하면서 당황하거나 긴장했을 때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는데, 이때 동공 근육 중 교감신경의 영향을 받는 동공확대근이 자극받아 동공이 커지게 됩니다. 그 정도가 심하면 눈빛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여 일명 ‘동공지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