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김을 세계적으로 알아준다고 들었는데요. 김은 몇가지나 양식을 하나요.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바닷가에서 나오는 김을 알아준다고 합닝다. 파래김 및 곱창돌김. 광천김 등이 있고 민물김도 그렇고 몇가지나 양식하나요?
우리나라에서 양식하는 김의 종류는 크게 10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방금 언급하신 파래김, 곱창돌김 외에도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재래김, 그리고 자반김, 돌김, 대왕김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지역이나 양식 방법에 따라 명칭이 조금씩 다른 김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한국산 김은 품질이 우수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수출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하는 김은 세 가지입니다.
말씀하신 파래김이나 곱창돌김, 광천김은 김을 가공하고 난 후 제품의 이름입니다.
그리고 양식되는 김의 각 종류마다 특징과 주요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김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김의 맛과 질감이 달라집니다.
첫번째는 방사무늬김입니다.
생장 속도가 가장 빠르고, 부드럽고 탄력이 좋아 김밥용 김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래서 주로 먼저 말씀드린 김밥용 김이외에 김자반 등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두번째는 잇바디돌김입니다. 맛이 좋고 생장 속도도 빠르지만, 붉은갯병균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로 구이김이나 조미김 등으로 가공되어 판매됩니다.
세번째는 모무늬돌김입니다. 다른 종류의 김에 비해 생산량이 적고, 고급 김으로 분류됩니다. 주로 고급 구이김, 선물용 김 등으로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1. 미역: 바닷가에서 자생하는 해조류로,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다시마: 건강식으로 인기가 있으며, 양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김:대표적으로 파래김, 곱창돌김, 광천김 등이 있으며, 양식 기술이 발전하여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습니다.
4.민물김: 주로 담수에서 자생하는 해조류로, 최근 양식 기술이 개발되어 소비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