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N은 증권사만 발행가능한 것인가요?
ETF는 자산운용사들이 발행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증권사가 발행하는 상장지수채권인 ETN이 있더군요. 그런데 채권 자체는 일반 회사도 발행가능한데 ETN은 증권사만 발행가능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ETN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발행한 파생결합증권으로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만기가 있는 증권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ETN(상장지수채권)은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금융상품으로,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ETN은 증권사의 신용으로 발행되며, 일반 회사는 아닌 증권사만이 이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ETN과 ETF(상장지수펀드)는 발행 주체가 다릅니다. ETF는 자산운용사가 발행하는 반면, ETN은 증권사가 발행합니다. 이로 인해 법적 성격과 신용 위험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ETN은 발행사의 신용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용 위험이 존재하지만, ETF는 자산운용사가 신탁재산으로 보관하여 신용 위험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ETF와 같은 경우 자산운용사만 발행하며
ETN과 같은 경우에는 증권사의 신용으로 발행하는 것이기에
증권사만 발행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ETN은 증권사만이 발행할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ETN은 채권이나 다른 자산에 연동된 채권상품으로, 투자자에게 해당 자산의 수익을 제공하는 형태의 증권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ETN상장지수증권으로 증권사만 발행하는 상품이 맞습니다. 끝에 note가 들어가지만 채권처럼 원금보장의무도 없고 ETF처럼 LP가 있긴 하지만 국내법상 괴리율이 발생시 유동성공급자가 가격을 맞추긴 하된 의무가 없으므로 괴리율이 ETF와 달리 심하게 발생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게 문제입니다
거기다 ETF는 투자자에게 납입받은 돈을 실제 약정한 기초자산에 투자하는것이 의무이지만 ETN은 단순이 신용증권이기 때문에 (채권도 신용을 통해 차입) 추종지수와 일치하게 현금흐름을 약속하는 신용증권인것 입니다. (아마 이부분때문에 Note라는 채권의 영단어를 쓴것 같습니다)
이 부분으로 인해 증권사가 자기 신용으로 발행하는 약속증권이기 때문에 발행사가 발생할경우 해당증권은 상장해제와 동시에 대부분의 자금이 손실날 가능성이 있는 매우 위험도가 높은 상품이라고 말할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N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증권인데요. ETN은 증권사 신용으로 발행하고 만기가 있는 상품인 반면, ETF는 자산운용사가 발행하는 만기가 없는 상품입니다.
안녕하세요.
예 맞습니다 제가 찾아본 자료상으로는 이티엔은 증권사에서 증권사의 신용을 바탕으로 발행하는 것으로 기초지수의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됩니다 사실상 증권사에서만 발행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ETN은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상품입니다.
발행 증권회사는 추종하고 있는 기초지수의 성과가 반영된 지표가치를 투자자에게 만기에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채권은 일반 기업도 발행할 수 있지만, ETN(Exchange Traded Note)은 증권사만 발행할 수 있습니다.
채권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부채 증서로, 다양한 기업이 발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ETN은 증권사가 특정 지수나 자산의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설계한 금융 상품입니다.
ETN은 발행과 운영의 복잡성과 규제 요건 때문에 증권사 같은 금융 기관만이 발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TN은 증권사만 발행하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말씀해주신 그대로 ETN은 증권사가 발행하는 것으로
신용을 담보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네, 그렇습니다. ETN의 경우 증권사가 자사 신용을 근거로해서 발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