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엽쭌5657
엽쭌5657

혈액검사결과 콜레스트롤이 너무 높은거 같아요

성별
남성
나이대
45

검강검진을 했는데 혈액검사결과 총콜레스트롤이 너무 높은거 같은데 혹시 약먹을정도인가요?? 약을 먹어야한다면 혈압약처럼 평생먹어야 하는건가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45세 이상으로 흡연을 하거나 다른 만성질환이 있다면, 경동맥 질환이 동반 시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병원 진료와 추적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LDL 수치가 가장 중요하지만

    단순히 수치만 놓고 약물복용을 하는 것은 아니고

    개개인의 심혈관 위험요소를 평가해서 결정하기에 내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고지혈증의 치료는 식이 조절과 운동을 통한 생활 습관 개선 및 적절한 체중 유지와 함께 약물치료를 포함합니다. 약물치료에는 주로 스타틴 계열의 약물이 사용되는데, 이 약물은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고, 혈중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집중적으로 낮추며 중성지방도 일부 감소시킵니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약간 올리지만, 그 효과는 원래 수치의 5~10% 정도로 경미합니다. 드물게 근염이 발생할 수 있어 약물 복용 중 근육통이 발생하면 혈중 크레아틴 카이네이즈(CK)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에제티미브는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재흡수를 억제하여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스타틴과 함께 사용하면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합니다. 콜레스티라민은 담즙산 재흡수를 막아 LDL-콜레스테롤을 줄이지만, 중성지방 수치를 올릴 수 있어 중성지방이 높은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약물은 소화기계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식사 조절과 적절한 운동을 통해 비만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하고, 적절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실천하며, 과체중일 경우 점진적으로 체중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른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조절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