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이 전염 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항생제 내성에 대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항생제를 오남용하여 생긴 내성이 아닌 항생제 내성균에 전염 되어도 항생제 내성이 생긴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항생제 내성균을 가진 사람이 기침이나 침으로 내성균이 전염 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항생제의 내성을 가진 균주가 여러 경로를 통해 전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항생제 내성 균의 경우 확인 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격리치료가 권고됩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네, 항생제 내성균을 가진 사람이 기침이나 침을 통해 내성균을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균은 일반적인 세균처럼 전파될 수 있으며, 내성균에 감염된 사람은 동일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특히 병원이나 의료 환경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내성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항생제를 정확히 처방된 대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된 경우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항생제 내성은 균에 생기는거지 사람에게 생기지 않습니다.
사회적으로 항생제 사용을 줄여야하는 이유는 내성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거지 개개인의 사람에게 내성이 생기기 때문이 아닙니다. 이걸 많이들 오해를 하십니다.
항생제를 쓰다말다 반복해서 내성균이 만들어지면 보통 그 사람에게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데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면서 증식해서 문제를 일으킵니다. 전파된 사람은 항생제를 사용해도 세균을 죽일 수 없어서 문제가 되는겁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항생제 내성균을 가진 사람이 기침이나 침으로 내성균이 전염이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내성이 전염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해당 population이 문제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균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항생제 다제 내성균을 가진 사람이 가래나 피검사 소변검사등에서 확진이 되었다면 병원에 계신경우 그에 준해서 접촉 차단 등 격리 지침을 따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에게 균이 옮는다기 보다는 병원내에 면여력 약한 사람들이 많아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그런 지침이 있는 것입니다. 신체 건강한 사람들 접촉후 손위생 신경쓰면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