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결막염 걸렸는데 전염성 있는 결막염일까요??
제가 2주정도 유행성각결막염을 앓고 있었는데
아기가 월요일에 갑자기 눈꼽끼고 충혈되서 안과 갔더니 어머님한테 옮은거 같다고 해서 등원중단 시키고 약먹이고 안약 넣었는데 하루만에 충혈도 안생기고 오늘은 눈꼽도 안끼네요 (눈 앞머리에 맑은눈꼽 하나정도..?) 이런경우 그냥 단순 알러지성이나 일시적으로 그런거였을까요? 만약 전염성이 없는거면 .. 안과가서 소견서 받고 등원 시킬수 있어서 미리 안과 가보려고 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아이가 유행성각결막염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지만, 하루 만에 증상이 호전된 것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일시적인 자극으로 인한 결막염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아이의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고 의사의 진료를 통해 전염성이 없다는 확인을 받기 전까지는 등원을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안과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의사의 소견에 따라 등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신중하게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갑자기 눈곱이 끼고 충혈되어 안과에서 "어머니한테 옮은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면, 전염력있는 결막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가족 간 직접 접촉이나 손, 수건 등을 통해 쉽게 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하루 만에 충혈이 사라지고 눈곱도 거의 없으며, 맑은 눈곱만 약간 남아있다면, 일시적인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감기 등 다른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정확한 구분은 증상만으로 어려울 수 있으니, 아이가 현재 증상이 거의 없고 전염성 여부가 중요하다면 안과에서 진료받고 소견서를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의사가 전염성 결막염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등원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아이의 결막염 상태가 궁금하시겠군요. 먼저, 결막염은 크게 전염성 결막염과 비전염성 결막염으로 나뉩니다. 전염성 결막염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전염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앓고 있었던 유행성각결막염은 흔히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전염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증상이 하루 만에 많이 호전되었다고 하셨는데, 이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이거나 일시적인 자극에 의한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없습니다. 특히 눈 앞머리에 맑은 눈곱이 조금 끼는 정도라면 알레르기나 자극에 의한 가벼운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전염성이 없는 상태라면 아이가 병원에서 소견서를 받은 후 등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증상이 빠르게 호전되었다고 하니 아이와 다른 가족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 다시 안과를 방문해 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전염성 바이러스성 결막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하루만에 호전되었고 현재 눈곱이 거의 없다면 알레르기성이거나 일시적 비감염성 염증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안과에서 결막 소견을 다시 확인해야 하며, 전염성 여부에 따라 소견서 발급 후 등원 가능 여부가 결정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아이의 증상이 매우 빠르게 호전되었다면, 전염성 강한 유행성각결막염일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성(주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증상이 최소 며칠에서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충혈, 눈곱, 눈의 이물감, 눈물, 심한 가려움증 등이 뚜렷하게 나타나요
하루 이틀 만에 증상이 거의 사라졌고, 현재는 맑은 눈곱이 약간 있는 정도라면, 단순한 일시적 자극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이었을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최근에 전염성 결막염을 앓았던 부모와 접촉했고, 처음에 의심 소견이 있었다면 정확한 판단은 안과 전문의 진료 후에 등원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보육시설에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전염성 여부에 대한 명확한 소견서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현재 증상이 거의 없더라도 안과를 다시 방문해 아이 상태를 확인하고 소견서를 받는 것이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