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이제는봄이여
이제는봄이여

저축성 보험에 들어가는 것보다 그냥 예금이나 적금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한가요?

어디서 보니깐 원래 내야 하는 보험 금액보다 추가로 더 내게 되면

만기가 되는 시점에서 추가로 낸 돈은 돌려 받게 된다고 하던데

이런 저축성 보험보다 차라리 은행에서 하는

예금이나 적금을 드는 것이 이자율 면에서 더 유리한 것이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만기까지 납입하고 유지를 했을때는 손해없이 목돈마련에 도움이 됩니다 중도해지시에는 손해가 많을 수도 적을수도 있으나 손해는 불가피합니다 반면 은행은 해지시에 원금손실은 없으나 만기까지 유지가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짧게 적금으로저쿨리는것은 은행이 나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보험은 장기 유지 시 세제 혜택과 복리 효과로 유리하지만 해약 시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예금이나 적금은 원금 손실이 없고 유동성이 좋아서 단기 목돈 마련이나 유연한 자금 운용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이자율 면에서는 보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결국 장기적이고 세제 혜택을 원한다면 저축성보험이 유리하고

    단기 또는 유동성을 중시한다면 은행 예금이나 적금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형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저축성 보험과 일반 예적금과 차이점은

    저축성보험은 월150이하 일시납 1억 이하이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수 있다는 점입니다.

    장기적 투자가 아니라면 일반 예적금이 좋고 10년이상 장기 투자라고 하면 보험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광수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 상품과 은행사 상품을 적절히 가져가셔야합니다.

    보통 보험사는 장기 부분이 많기때문에 노후자금 또는 목돈마련으로 준비하는거고

    은행사는 단기로만 준비할때 쓰는 용도인데

    내가 100만원 저축할거다 가정하면

    40 만원 보험사 60만원 은행 이런식으로 비율나눠서 분배를 잘하셔야합니다.

    또 궁금한 부분이나 도움 필요하신가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투자이고 장기적인 끈기가 있어야 됩니다 절반도 넘는 사람들이 해약을 중간에 하기 때문에 손해를 보게 됩니다 장기 유지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뜻입니다 단지 10만 원 20만 원이라고 해도 그것이 언제부터 못 내게 될 수 있는 순간들이 찾아오는 것이고요 저도 똑같은 경험이 있습니다 오히려 저축을 해 놓는게 나았다 왜냐하면 원금이라도 찾을 수 있거든요 부유한 사람들이 부자가 되는 것은 자산이 많기 때문입니다 급전 쓸 일이 없다라는 얘기지요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이자율 면에서 보면 보험이 더 낫습니다. 왜냐하면 보험은 은행의 예금이나 적금과 달리 원금과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이자로 운영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그만큼 보험에서는 사업비를 떼가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보면 은행의 예금이 나은 점도 있습니다. 저축성보험은 생존 시 지급되는 보험금의 합계액이 이미 납입한 보험료를 초과하는 보험을 말합니다. 보험의 고유한 위험보장 기능보다는 저축 기능을 강화한 상품으로 목돈을 마련하거나 노후를 대비하도록 개발된 상품입니다. 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저축보험 및 각종 금융형 보험 등이 있겠습니다.

    예금을 살펴보면 저축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롭고 가입대상이나 예치한도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면서 보통예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편입니다. 이것보다 나은 것이 MMDA 예금입니다. 저축기간은 제한이 없으며 최고 가입한도도 제한이 없습니다. 최저 가입금액은 5백만원입니다. 이자 지급방법이 매일의 잔액을 기준으로 최종 잔액에 따른 차등금리를 저굥하여 3개월 단위로 이자를 원금에 가산하는 방식입니다.

    적금은 정기적금이 있는데요. 금융기관에서 취급하는 목돈마련을 위한 적립식 예금의 대표적인 상품으로 적금신규시 저축의 계약금액과 저축기간 그리고 월부금과 약정 납입일을 정한 후 저축기간 동안 매월약정 납입일에 월부금을 납입하고 만기일에 원리금을 목돈으로 지급받는 저축상품입니다. 저축기간은 6개월 이상 5년 이내에 월 단위로 정하고요. 최장 만기는 금융기간별로 상이합니다. 저축한도는 월 저축금 1만원 이상이고요. 최고한도에 있어서 별도의 제한은 없지만 자유적립식 상품의 경우에는 월별 입금한도에 일부 제한을 둡니다. 좋은 점은 비과세종합저축으로 가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저축성 보험은 기본적으로 복리 상품입니다.

    그런 반면에 일반 적금 상품은 단리 상품입니다.

    그리고 저축성 상품은 최소 10년 유지 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10년 동안 3%금리를 적용 받는다고 했을 경우 적금은 1,353만원 정도입니다. 그에 반해 저축성은 1,400만원으로 47만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저축성이 좀 더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이자율만 따진다면 보험사가 더 높습니다. 그 이유는 은행에서 이자를 높게 준다고 해도 막상 그 적금을 살펴보면 기본금리는 얼마 안되고 공과금이나 통신요금을 자동이체 했을 때 우대금리를 더 준다고 말합니다. 그러니 만약 선생님께서 우대금리를 받으셔서 높은 이자로 은행에서 적금을 가입하셔도 만기 때 15.4%라는 이자를 뗍니다. 그럼 그냥 선생님 돈을 은행에 맡겼다가 찾는것밖에 안되는거죠.

    물론 보험사에서 저축을 가입하시면 최소 20년을 납입해야 하므로 기간이 부담스러우실 순 있습니다. 하지만 세금을 안 떼고 복리이자로 받을 수 있으니 저축만 생각한다면 당연히 보험상품이 더 유리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